본문 바로가기
잡학다식/사주 연구소

이스라엘 12지파와 12개의 띠별 특징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by roo9 2025. 4. 27.
이스라엘의 12지파 특성을 보고 동양, 사주명리학에서의 천간 지지 12지지와 다소 연관성이 있어 보여서 찾아봤습니다.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12지지를 이스라엘 지파와 얼마나 비슷한지 꽤 흥미롭습니다.

📢 스폰서 링크

1. 자수와 해수와 닮은 르우벤 지파와 베냐민 지파

르우벤과 자수는 둘 다 시작의 격렬함을 상징합니다. 르우벤은 이스라엘의 장자입니다.하지만 아버지의 첩을 건드려서 저주를 받지만 격정적 에너지와 시작의 의미로 자수와 비슷합니다. 자수는 12지지에서 거대한 흐름의 시작입니다. 자수의 성향은 나름 신성하고 웅장하지만 자수가 발달한 사람의 특징을 보면 나름 르우벤과 비슷한 부분이 있다는 것도 흥미롭습니다.

 

르우벤은 첫째, 격정, 충동적인 특성이 있고 자수는 시작과 움직임을 의미하며 물을 상징합니다.띠로는 쥐띠에 해당합니다. 둘 다 비슷한 점이 있다면 격정적 에너지와 시작을 의미합니다. 둘 중 시작점이라는 비슷한 점도 있지만 르우벤은 감정적 폭발의 성향인 것에 비해서 사주명리학에서 자수는 인내와 잠재를 의미하니 확연한 차이점은 보입니다.또한, 쥐띠는 은밀하고 꾸준한 증식을 하는데요. 흥미롭게도 르우벤도 이와 비슷합니다. 르우벤도 장자로서 초기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시도를 했고 은밀하게 아버지의 침상을 점유하려고 첩을 건드렸죠.이래저래 증식을 꾀하려다 스스로 무너졌는데요. 둑이 무너져서 물이 넘치듯 다소 비슷한 면이 보입니다.

 

르우벤이 장자면 베냐민은 12지파 중 막내입니다. 야곱의 막내아들이죠. 베냐민 지파는 극히 소수지만 상당히 전투적이고 극단적입니다. 치명적인 전사 집단을 형성하고 극한까지 몰린 생존 본능을 보여줍니다. 감정이 폭발하면 끝장을 보는 성향인데요. 희박한 확률 속에서 끈질기게 살아남은 절박한 생존자의 표상입니다. 반면 해수 돼지띠는 자수와 마찬가지로 물을 의미하며 지혜 그리고 숨겨진 에너지를 뜻합니다. 상당히 치밀하고 계산적인 생존 전략을 선호합니다. 의견상은 부드럽고 온화한 것 같아도 내부에는 은밀한 음성과 깊이가 있습니다. 겉으로는 명석함을 중시해도 숨겨진 분노나 폭발하는 감정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즉 깨끗하고 영민하지만 때로는 모순된 양면성을 가진 은밀한 생존자 기질이 다분합니다.

 

베냐민 지파와 돼지띠의 특징의 공통점은 둘 다 생존 본능이 강하고 위기 상황에서 포기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외부 환경에 민감하여 내부 결속력이 강하지만 둘의 차이점이 있다면 베냐민은 생존을 위해 직접 싸우는 편이지만 해수 돼지띠는 때를 조용히 기다리며 은밀히 반격하는 타입입니다. 베냐민은 외향적 생존 본능, 돼지띠는 내향적 생존 본능이란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베냐민 지파의 만행과 돼지

 

📢 스폰서 링크

2. 진술축미 용띠, 개띠, 소띠, 양띠와 관련된 12지파들 비교

시므온은 이스라엘 12지파의 둘째입니다. 분노와 분쟁의 상징인데 두번째 지지 축토 소띠와 비교해서 응집력과 고집스러운 토의 기질을 갖는 부분에서 비슷해 보입니다. 고집과 격렬한 감정의 둘의 공통점이 아닌가 합니다.

 에브라임과 므낫세 지파를 통칭한 요셉 지파는 번성과 복, 그리고 생존을 의미합니다. 이와 비슷한 술토 개띠는 수호와 보수하는 기질의 토를 상징합니다. 둘 다 성장과 보존의 이중성을 지녔습니다.

잇사갈 지파는 성실한 농부 성향입니다. 이에 진토 용띠는 변화와 이상을 상징하는 데요. 둘 다 땅과 변화의 힘이란 점에서는 다소 비슷해 보입니다. 실제 진토가 농사짓기 좋은 땅이긴 하고요.

지파는 군사력과 침략적입니다. 미토 양띠는 완성과 포용을 의미하는 토이기에 비슷한 점은 희박하지만 전투적이면서도 공동체적이란 일면 비슷해 보이는 구석이 있습니다.

 

3. 호랑이와 토끼를 닮은 레위 지파와 유다 지파

레위 지파제사장 지파로 아주 특별한 지파입니다. 모세가 소속된 지파이기도 하죠. 그리고 인목은 생명력과 봄을 상징하는 목입니다. 호랑이 범띠에 갑목에 속하며 1등 주의, 혹은 늘 일등 마인드가 있습니다. 성장을 위한 분리와 초월된 점에서 사뭇 비슷합니다.

유다 지파통치와 왕권을 상징하는 강력한 지파입니다. 토끼띠 묘목은 조화와 형평을 중시하는 을목입니다. 둘다 질서와 균형을 통한 리더십을 중시하는 면에서 매우 비슷해 보입니다.

4. 스불론과 단 지파 그리고 뱀띠와 말띠

스불론 지파무역과 바다를 상징합니다. 반면 사화는 음화로 뜨거운 태양을 의미하며 뱀띠를 상징합니다. 뱀은 지혜와 이동을 의미하는데 일면 무역과 연관되는 역마성으로 비슷해 보입니다. 유연성과 교역적 감각 면에서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

단 지파 심판과 정의를 상징합니다. 말띠를 의미하는 오화는 밝음과 독립을 상징합니다. 강한 개성과 정의를 집행하는 면에서 비슷하다고 볼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요.

📢 스폰서 링크

5. 아셀과 납달리 지파 그리고 원숭이띠와 닭띠 비교

아셀지파는 번영과 기름진땅을 상징합니다. 신금 원숭이띠는 성취와 금을 상징합니다. 둘다 풍요와 물질적 성취면에서 비슷합니다.

납달리 지파는 빠른 속도와 자유를 상징합니다. 유금 닭띠는 완성과 정리를 의미하는 금입니다. 둘 다 민첩성과 아름다운 완결성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 스폰서 링크

이스라엘 12지파의 12지지의 마무리

이스라엘 12지파와 12지지는 모두 인간 존재와 세계 질서를 설명하는 장치입니다. 12지파는 공동체 역사적 사건과 혈통 중심으로 나뉜 것이고 동양에서 발생한 12지지, 12개의 띠별 특성은 자연의 리듬과 인간의 기질적 특성을 자연철학적으로 해석한 체계입니다. 둘 다 본질적으로는 존재와 질서의 유형화라는 큰 틀에서 접점이 보입니다. 서로 다른 문화권이지만 모두 인간 존재의 다양성과 자연 질서의 순환을 이해하려 한 인류 보편적 사유의 흔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이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