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 media/미디어영상학

커뮤니케이션 이론 중 의제설정이론에 관하여

roo9 2021. 12. 10. 22:55

 

 

 

 

저널리즘의 이론-의제설정이론

행동에서 인식으로: 저널리즘 효과의 패러다임 전환

`언론이 힘이 있다 혹은 없다고 말할 때 그 '힘'이란 영향력을 의미한다.

`언론인이나 일반 시민들은 언론 보도의 양과 내용, 보도 방식이 사람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햘을 미치며 그 영향력의 규모 또한 클 것이라고 가정함.

 

 

 

1950~1960년대의 저널리즘 연구: 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한 저널리즘 연구

-언론이 개인의 행위동기나 행동은 물론 개인의 의견형성이나 변화에 일관되게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함. 일부 특정 집단이나 개인에게 영향을 미친다하더라도 그 영향력의 규모가 전반적이지 않다는 것을 밝혀냄.

 

1970년대 들어서면서 언론학자들은 과거의 연구에서 규정한 언론의 영향력의 개념 정의에 문제가 있다고 진단하고 새로운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 개념을 제안.

1.언론이 개인의 행동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력 보다는 개인의 의견 및 태도에 미치는 인지적 효과에 주목

2. 연구자들이 언론이 여론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중, 장기적이고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인식.

 

 

의제설정 이론

정의:의제설정이론은 새로운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 개념을 차용한 대표적인 저널리즘 이론.

의제설정 이론의 주창자인 맥컴스와 쇼는 언론이 공중의 태도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데는 실패할지 모르지만, 특정한 이슈를 강조해서 보도함에 따라 공중이 그 이슈를 중요한 것으로 인지하도록 만드는데는 효과적이라고 주장.

 

흔히 의제설정 효과의 특징을 중효과 , 인지적 효과, 간접적 효과라고 부름.

 

의제설정은 한마디로 미디어가 특정한 주제에 대해 의제를 지속적으로 설정하면 수용자들도 그에 대한 인식을 비슷하게 갖게 되는 현상으로 보는 것.

 

 

 

실제로 뉴스 미디어가 한 나라나 지역의 주요한 의제를 선정해서 이를 지속적이고 광범위하게 공중의제로 만들려고 노력하면 결과적으로 공중은 이를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는 경향이 있음.

수용자들은 뉴스미디어로부터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에 대한 사실적 정보를 얻는 것을 넘어 뉴스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어떤 사건이 중요하고 중요하지 않은지를 알게 됨.

 

'이론'에서 '현실'로

의제설정 이론은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대한 연구를 노스캐롤라이나 주에서 수행한 맥컴스와 쇼에 의해 제시됨.

미디어가 의제를 설정하고 공중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은 이미 1920년대부터 존재함.

 

 

 

20세기 초반 가장 영향력있는 언론인이지 비평가였던 리프먼은 1922년에 발행된 그의 저서 '여론'에서 미디어에 의해 그려지는 세계에 대해 탐구한 후 이것을 '바깥의 세계와 우리 머릿속의 그림'이라고 지칭.

 

머릿속의 그림-리프먼이 제시한 개념

뉴스미디어가 일반 시민들이 도달하거나 볼 수 없는 외부세계애 대해 그들 머릿속의 그림에 대한 주요한 원천을 제공함을 설명

실제로 사람들이 직접 경험할 수 없는 것보다 넓은 세계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대체적으로 미디어가 수용자에게 알리기로 결정한 것이 기초한 것임. 이는 미디어에서 중요한 것이라고 설정한 의제가 공중의 머릿속에 중요한 것으로 각인됨.

 

 

언론은 우리에게 무것을 생각할 것인가를 말해주는 데는 실패할지 모르나 무엇에 대하여 생각할 것인가를 말해주는데 있어서는 성공적이라는 미국의 정치학자 코언의 지적도 언론의 의제설정 기능을 지칭하는 것임.

 

 

핵심개념과 가정

-의제설정 이론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재용은 '의제'라는 개념

의제:-언론이나 공중의 논의의 대상이 되는 독립적인 이슈나 주제를 의미

-일반적이며 일상적인 내용부터 구체적이며 상황의존적인 내용까지 포함

예)일반적이며 일상적인 내용:물가불안, 범죄증가, 교육 문제등

구체적이며 상황의존적인 내용: 성폭력 사범 실명공개, 특정 연예인의 사생활, 누가 대통령이 될 것인가.

 

`의제를 논하는 주체를 기준으로 구분해보면,

1)미디어의제:언론이 강조해서 보도하는 이슈

2)공중의제: 언론의 수용자, 즉 공중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이슈

3)정책의제:정부, 의회, 사회단체, 기업과 같은 정책결정 기구나 집단이 중요하게 다루는 이슈.

 

 

-의제설정 효과에 대한 연구는 결국 이 세종류의 의제가 어떻게 상호관련되어 있으며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초점을 맞춤.

-전통적으로 의제설정 효과라고 말할 때에는 '미디어의제가 공중의제에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을의미하며, 이는 의제설정 개념을 좁은 의미로 이해하는 것임

-최근에는 의제 설정이라는 개념을 미디어의제, 공중의제, 정책의제를 결정하는 모든 과정에 적용해서 사용하는 추세.

-이 경우 의제를 설정하는 과정은 미디어의제설정, 공중의제설정,정책의제설정으로 구분함

 

`정책의제설정 과정을 의제형성이라고 특수하게 개념화하기도 함

`의제의 특성과 관련한 중요한 가정은 의제가 상호경쟁적이라는 점. 어떤 의제는 다른 의제보다 더욱 중요하거나 현저함.따라서 여러 의제들을 놓고 각각의 중요성에 따라 순위를 매길 수 있다고 가정했을 때, 하나의 의제느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그 중요도를 놓고 다른 의제들과 경쟁, 미디어와 미디어 간, 공중과 정책 간 의제의 경쟁이 발생하기도 함.

 

`의제설정과정은 하나의 의제가 부각되면 다른 의제는 가라앉는 제로섬 게임(zero-sum)

 

 

한계점

의제설정 이론의 한계점은 어떤 이슈가 여론의 주목을 받는지 설명할 뿐, 여론의 변화 방향에 대해서는 어떠한 예측도 제시하지 않는다는 점.

다시 말해 의제설정 이론은 언론이 특정 이슈를 강조해서 보도하면 그 이슈의 중요성에 대한 공중의 평가가 변화한다고 설명할 뿐, 그 이슈에 대한 여론의 찬반의 반향이 어떠한지에 대해 설명하지 않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