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소스 제작의 기본 원리
1.비트맵과 벡터 이미지 비교
그래픽을 표현하는 데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비트맵과 벡터 방식.
비트맵 방식:bitmap, 여러개의 점(픽셀)을 이용해서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
`사진이나 비디오 정지화면 등을 그래픽 파일로 변환할 때 이용.
`jpg,gif,png,bmp,pcx,psd.
벡터방식: vector, 그래픽의 요소들을 각각 수식적인 도형 정보로 일러스트레이션 등을 그릴 때 이용되는 방식.
`ai,svg.
이미지 파일의 비교
비트맵 이미지와 벡터 그래픽 비교
비트맵 방식으로 표현된 것.
확대시 점들의 집합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네모난 픽셀로 분절이 되어 있음. 지그재그 현상.
벡터 방식, 일러스트레이터.
확대해도 이미지의 화질 저하가 오지 않는다.
아무리 확대해도 외곽선의 지그재그 현상 나타나지 않음.
각각의 도형들이 매끄럽게 표현됨.
비트맵 방식 | 벡터방식 |
`컬러의 자연스러운 변화를 표현하는데 유리함. `확대할 경우 픽셀의 크기가 커지지 않기 때문에 화질이 저하됨. `벡터 방식의 그림에 비해 많은 기억용량을 차지함. `비트맵 방식의 프로그램: paint, bitmap프로그램이라 부름, paint, |
`그림의 세밀한 부분, 컬러의 자연스러운 변화 표현이 어려움. `구성하는 객체게 다양하고 많을 수록 파일 용량, 그래픽 처리 시간 등이 많이 소요됨. `확대 해도 화질 저하가 없음. `수식어로 표현되기 때문에 벡터 그래픽을 풀어내기가 어려움. 벡터 방식의 프로그램:drawing,illustration,vector program, 이라 부름. 코렐 드로우, 일러스트레이터 등. |
그래픽 파일 개요
그래픽 파일은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형식이다.
`그래픽 파일은 압축을 해서 저장하게 됨.
`어떤 프로그램에서, 어떤 방식으로 압축되었느냐에 따라서 파일의 종류가 정해짐.
`파일의 종류에 따라서 이용되는 프로그램이 달라질 수 있고 또한 작동하는 환경이 달라질 수 있음.
`자신이 이용하는 프로그램과 이미지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각기 다른 형식으로 저장하게 될 것.
`보편적으로 인식되는 파일 형식을 사용해야 여러 환경에서 이용 가능하다.
2차원 비트맵 파일의 종류
★pcx::초기에 사용했던 그래픽 평식, IBM에서 가장 초기에 사용하던 그래픽 형식. 최초에는 256 컬러만 지원했고 현재는 잘 안쓰임.
★bmp: 윈도3.0부터 지원한 그래픽 포맷. 압축하지 않는 포맷이기 때문에 파일 크기가 굉장히 크다.
★GIF:통신회사에서 파일의 전송을 목적으로 제안한 형식. 데이터 압축률이 우수하나 256컬러만을 지원함.투명한 배경, 몇 개의 이미지를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애니메이션 포함 기능.
간단한 애니메이션
★JPG:전문 사진가 협회인 JPEG에서 지정한 압축 방법 사용.
손실 압축기법을 사용. 굉장히 자연스러우면서도 굉장히 압축을 많이 함.
장점은 자연스럽게 큰 압축이 가능하다. (손실압축기법: 원래의 정보는 손실하면서 압축되는 기법 이지만 인간의 눈으로는 차이를 느끼기 어려움).
★PNG형식: 기본적으로 웹에 이용하기 위해 개발된 포맷.
`트루 컬러 지원. 비손실 압축 사용. JPG에 비하여 PNG는 훨씬 크지만 손실이 전혀 없으면서 압축 가능. 점차로 PNG를 많이 이용하는 추세. 익스플로러4 이상에서 지원.
★PSD: 포토샵에서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는 형식.
`작업에 이용된 다양한 효과가 같이 저장됨.
*포토샵으로 제작한 내용물은 JPG나 GIF로 저장해야 인터넷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다.
2차원 벡터 파일의 종류
★SVG:SCALABLE VEXTOR GRAPHIC의 준말, 1999년 제안, 미래 웹 표준으로 이용 가능성(HTML5) 확대해도 화질 저하가 없음. 애니메이션, 쌍방향성.
앞으로 보편화될 조짐.
★AI:어도비사의 일러스트레이터에서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는 형식. 일러스트레이터 등의 벡터 프로그램에서만 인식 가능.
이미지 소스 구하기
이미지 소스 구하는 법
-쿨립아트 모음:
-인터넷 무료 이미지
-디지털 카메라
최근 스마트 폰 많이 이용.
-사진 스캔
이미지 편집의 기초.
☆이미지 일부 선택하기
☆이미지 색상 보정하기
☆이미지 모양 변형하기
☆필터를 이용한 다양한 효과 내기
☆레이어를 이용한 특수효과 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