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다식/사주 연구소

사주에서 내격과 외격에 관하여

by roo9 2025. 1. 31.

사주에서 격국이란 일간과 월지의 관계를 통해 사주의 성격과 구조 즉, 골격을 정하는 개념입니다. 여기서 국(局)은 격과 함께 운용되며 특정한 패턴을 통해 사주의 강약 및 조화를 분석하게 됩니다. 격국은 정리하면, 사주의 성향을 정하는 기준이자 운명 해석의 기초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사주의 격국은 크게 내격과 외격으로 분류합니다. 

 


내격과 외격의 구분

 

사주의 격국은 내격과 외격으로 구분하는데 내격은 일반적인 사주의 격으로 정격이라고도 하며, 월지의 지장간에서 투출 된 글자로 정해집니다. 월지 지장간에 무토 편인이 있고 무토가 천간에 떠 있다면 편인격으로 본다는 것인데 이 역시 상황을 잘 살펴야 하니 이 원칙이 꼭 들어맞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외격은 변격 혹은 별격이라고도 하는데 일반적인 내격의 범주에서 벗어난 특수한 구조의 사주입니다.

 

 

격국과 용신에 관하여

 

사주에서 격국과 용신에 관하여

사주공부의 가장 큰 핵심은 격국과 용신을 아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를 아는 것은 엄청 어렵습니다. 기본적인 오행 특성이라던가 일주론, 십성 및 십이운성 등의 특성을 공부하는 것으로 사주

goodinj.tistory.com

 

 


내격의 개념과 특징

 

먼저, 사주는 국을 이루는 경우가 흔치는 않습니다. 그러한 가운데 내격은 사주 성향을 판단하는 기본 구조로 월지의 지장간 중 천간에 드러난 글자로 격을 정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투출 한 글자가 없으면 월지의 정기를 기준으로 격을 정하긴 합니다. 이런 식으로 천간에 투출 되거나 월지 정기가 비견이면 비견격으로 독립심이 강하고 경쟁심이 높다고 합니다. 겁재격이면 대담하고 추진력이 강하지만 재물 손실의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식신격이라면 창의적이고 온화하며 여러 가지 복이 있는 편입니다. 상관격이라면 개성이 강하고 말을 잘하며 대체로 오만불손하다는 소리를 듣는 편입니다. 편재격은 사업적 감각이 뛰어나고 활동적이며 정재격은 근면하고 성실하나 짠돌이란 소리를 듣는 편이고요. 편관격은 강력한 카리스마로 도전적이고 추진력이 있지만 까탈스러운 편입니다. 정관 격은 공직자나 리더십이 있으나 고리타분한 유형이 많으며 편인격은 지적이고 내향적이며 예술적 소질이 있지만 편굴한 기질이 강한 면모가 두드러집니다. 정인격은 차분하고 학구적이나 겉과 속이 다른 기질이 있는 편이고요.

 

 

 

 


 

외격의 특징

 

내격과 다르게 외격은 별격으로 분류하는데요 내격에서 용신을 파악하기 어렵거나 특정한 오행이 강하게 작용할 때 성립합니다. 외격은 종격과 거격, 살격, 화격 등으로 나뉘는데요. 종격은 따르는 사주로 일간이 월지의 기운에 순응하는 구조로 종왕격, 종강격, 종아격, 종약격이 해당합니다. 거스르는 사주로 거격이 있는데 이는 일간이 월지의 기운과 반대되는 구조입니다. 거부하는 형태로 상당히 까다롭게 간명이 됩니다. 살격은 일간이 극한 기운이 강하게 작용하는 경우로 살중용인격과 상관패인격 등이 해당합니다. 특수격에 해당하는 화격은 특정한 오행이 극단적으로 강하여 특별한 구조를 형성합니다. 또한, 월지가 약하거나 특별한 구조를 가지면 외격이 성립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격과 용신의 관계

 

격국은 사람의 기본적인 성향을 나타냅니다. 혈액형 결과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이렇게 결과값이 나오면 용신을 통해 사주의 균형을 맞추고 운세를 해석 혹은 나아갈 방향과 살아온 궤적을 유추하게 되는 겁니다.

 

용신이란 사주의 균형을 맞추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단 격국이 정해지면 이를 보완하는 용신을 찾게 되는 겁니다. 그래서 정관격이 나오면 인성이 용신이 될 가능성이 높고 상관격일 경우 관성이 용신이 되어 균형을 맞추게 됩니다. 편재격인 경우는 편재를 보완하는 용신이 필요하게 되는 식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