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다식/사주 연구소

사주 천간 갑목의 물상과 특징

by roo9 2022. 1. 10.

갑목의 물상

 

갑목은 새싹이 나오면서 아직 껍질을 뒤집어쓰고 있는 모양으로 시작, 처음 제일을 나타냅니다. 건물이 위로 올라가는 모습, 동쪽, 산소, 에너지, 연료, 생기, 활력, 어린이, 산신령 및 단군 왕검도 갑목에 해당합니다.

 

 

갑목은 하늘에 있으면 천둥 번개나 용이고 땅에 있으면 기둥이나 대들보, 큰 숲이나 크고 단단한 나무입니다. 인체상은 쓸개이고 모발 및 신경 계통과 연관이 싶습니다. 

 

 

 

갑목의 성질은 곧고 강직하고 청색에 맛은 시며 소리는 탁하고 체형은 모나면서 긴 편인데. 갑오나 갑진 일주 등의 여성 중에는 연약하고 호리호리한 체형이 많은 편입니다.  싹을 터 움직이는 것이며 때를 얻으면 대성하나 때를 잃으면 무용지물이 됩니다. 극이 지나치면 쓰임새가 없고 물의 기운을 너무 많이 받으면 물에 떠 흘러가니 의지할 곳이 없습니다.

 

갑목의 기본 성격

 

갑목은 편재성을 지니는데 편재는 특성상 체계적이면서 금전적 실리를 추구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대체로 갑목 일주의 인성은 너그럽고 도량이 넓지만 고집이 너무 강한게 흠입니다. 뭐든지 시작하는 것을 좋아하는데 끝을 맺는 것은 죽을 때까지 맺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우유부단하거나 줏대가 없다는 핀잔을 들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갑목은 시작한 만큼 끝을 보는 성향이라 완성을 한다면 그 누구보다 대성할 수 있습니다. 준비가 철저하고 시작을 잘하니 대기만성형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한 번 부러지면 재기가 힘들기 때문에 실패를 두려워 합니다. 

 

 

갑목이 가장 좋아하는 지지는 진토입니다. 갑목은 을목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수기운도 너무 강하면 뿌리를 약하게 하여 반기지 않습니다. 또한 진토 다음으로 기토를 좋아하지만 건조한 무토는 좋아하지 않습니다. 임수는 좋아하지만 계수는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임수나 계수 등 물이 많은 것은 절대적으로 싫어합니다. 갑목이 좋아하는 순서를 말하면 1위가 진토, 2위가 인목 3위가 임수입니다. 그리고 싫어하는 순위는 1위가 무토이고 2위가 계수, 3위가 을목입니다. 

 

 

갑목은 강한 상승 작용을 하는 힘이기 때문에 당당하게 자신을 드러내는 걸 좋아합니다. 그래서 자만심과 과장도 심하고 허세가 있는 편입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측은지심이 발달해서 사람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에게 친절한 편입니다. 그래서 인기도 많지만 쓸데없는 오지랖을 부려 욕을 먹기도 합니다. 성과 중심보다는 사람 중심으로 일하기 때문에 수평적 리더십을 추구합니다. 갑목은 기본적으로 약자를 도우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편이지만 타인의 인정보다 스스로 만족하고 떠벌리는 경향으로 인해 본전도 못 찾는 경우가 있습니다. 게다가 자신이 약자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도와주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모순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도움을 받은 자는 고마움을 모르고, 도와준 자는 배신감에 치를 떠는 겁니다. 그래서인지 사람에게 상처를 받고 고립되는 경우도 생깁니다. 

 

 

갑목의 대표적인 성격은 추진력, 그러니까 시작이 좋다는 겁니다. 반면 마무리가 시작 보다 좋은 경우가 드물다는 것을 명심하고 목표를 낮게 잡고 반드시 일의 마무리를 짓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갑목이 갑목을 만나면 고난을 이기고 경쟁에서 승리하여 좋게 보지만 갑목이 을목을 만나면 귀찮기만 하고 훼방과 견제로 고통을 자주 당해서 싫어합니다. 갑목이 병화를 만나면 마치 귀인을 만나듯 고생 끝 낙이 오는 격으로 행운이 찾아온다고 합니다. 또한 갑목이 정화를 만나면 서로 일하기 좋은 파트너로서 서로에게 좋은 조력자가 됩니다. 아이디어가 샘 솟을 일이 필요할 때 갑목은 반드시 정화일주를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갑목은 기본적으로 무토를 필요로 하진 않지만 정상에 우뚝 선 모습으로 무토는 든든한 보디가드가 되어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공 가도를 달리는 와중에 무토는 그닥 쓸모가 없다는 것. 또한, 갑목이 기토를 만나면 대업을 이루기 좋지만 병화가 함께해야 좋고 계수가 있으면 탐재를 통해서 부를 이룰 수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