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잡학다식/사주 연구소444

사주 천간 특성 갑을목 병정화 요약 천간은 하늘에서 흐르는 오행의 기운을 의미한다.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10종류가 있으며 갑을목, 병정화 무기토 경신금 임계수 등으로 구분하고 암기한다. 사주에서 천간은 하늘에 있는 오행의 기운을 다시 음양으로 나눈 열 가지 기운인데 그 특성을 따른 글자에 빗대어 오묘한 자연의 법칙을 설명하고 있다. 사주 천간의 특성 갑목 천간의 특성 갑목은 곧고 강하여 위로 상승하려는 진취적인 기질과 이상을 지녔다. 굽히지 않고 잘 크기도 하지만 곧잘 부러지기도 하기에 기초를 탄탄하게 만들어야 좋다. 자존심이 너무 세서 오만 혹은 기고만장하다는 소리도 듣지만, 나무도 나무 나름인지라 버드나무처럼 유들유들해 보이기도 한다. 그렇다고 융통성이 좋다는 것은 아니다. 표면적으로는 유해 보여도 내심은 다 야망이 크다. 갑목이 부실.. 2022. 4. 28.
사주 오행 특징 사주 오행 특징 목의 특징 갑목의 경우 물을 보는 것을 좋아하지만 그렇다고 많이 흡수하는 것은 꺼려한다. 물이 많으면 나무가 썩는 것처럼. 대체로 갑목 여자는 곰 같고 남자는 우직하니 든든하다. 그렇다고 체형이 우직하다는 것은 아니다. 다소 진중한 성향이란 말. 남녀 생긴 것과는 다르게 섬세하고 매끄러운 맛이 부족하다. 그리고 잘 나가다 한 번에 훅 갈 수 있는 기질도 다분하고 그렇게 훅 가면 회복 불능도 많으니 유의해야 한다. 을목은 강인한 생명력 및 생활력이 강하기로 유명하다. 갑목보다 척박한 환경에 더 잘 적응한다. 때문에 삶의 기복이 큰 편이지만 누구보다 끈기있게 잘 버티는 불굴의 성질을 지녔다. 을목 여성이 생활력이 강한 것으로 최적화되어있다면 남성의 경우는 섬세함 혹은 완벽주의적인 성향이 남달.. 2022. 4. 26.
불굴의 정신과 체력을 지닌 간여지동 사주에 관하여 사주학에서 간여지동이란 천간과 지지가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사주에서는 불길하다고 보기에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육십 갑자 중 갑인, 을묘, 병오, 정사, 무진, 무술, 기미, 기축, 경신, 신유, 임자, 계해가 이에 해당합니다. 우리가 오해하고 있는 간여지동 사주에 관하여 옛날부터 간여지동 일주나 사주에 들어있으면 좋지 않게 보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이는 완전히 왜곡된 편견입니다. 실제로 성공한 이들 중에는 간여지동 일주이거나 사주에 간여지동을 지니고 있는 인물들이 더 많습니다. 그만큼 배포와 뚝심을 요하는 사회라서 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 간여지동 사주의 특징 옛사람들이 간여지동 사주를 좋지 않게 보는 이유로 가장 큰 것은 자존심이 세고 고집이 강하다고 보는 것입.. 2022. 4. 15.
포부가 큰 용과 재주많은 원숭이의 무한 능력 야심강한 용과 재주많은 원숭이의 욕심 사주에서 지지 진(辰)은 용을 의미합니다. 신(申)은 원숭이를 의미하고요. 그래서 임진, 경진, 무진, 갑진, 병진은 지지에 용이 깔려 있는 것이고, 갑신, 병신, 무신, 경신, 임신은 원숭이가 깔려있습니다. 보통 자신의 띠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가볍게 오늘의 운세 같은 거 봐도 띠별 운세가 많이 나옵니다. 별자리 운세와 띠별 운세가 가장 많은 점술 영역을 차지하는 것 같은데요. 아무튼 오늘은 용과 원숭이의 남다른 특징에 대해서 얘기해 보겠습니다. 용의 특징 용은 12동물 중 유일하게 환상의 동물로, 용을 실제로 본 사람은 없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전설 속 동물인 거죠. 그러나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람들은 용에 대한 관심이 남다릅니다. 일종의 숭배 혹은 신비한.. 2022. 4. 14.
사주 일주론, 을해(乙亥) 일주와 병신(丙申) 일주의 관종 대결 사주를 띠나 일주에 국한하여 간명하는 것은 코끼리 다리 짚고 나무라고 생각하는 것만큼 무모한 일이라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겁니다. 그러나 4가지 유형의 혈액형을 가지고도 성격을 단정하는 것에 비하면 적어도 일주로 가지고 논하는 것은 60가지의 경우의 수가 있는 것이니 전혀 맞지 않는다고 보기도 어려울 것입니다. 사주 공부를 하는 사람은 사람의 성격을 분석하는 것이 아닌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보다 심오한 정체성에 대한 고민과 노력을 하는 학문이므로 이런 신변잡기적인 취미에는 거부감을 일으킬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서양의 MBTI가 있다면 동양에는 사주학 만큼 정확하게 적절한 것이 없지요. 문제는 MBTI는 비교적 쉽고 명료한 반면 사주는 알수록 복잡하기 그지없다는 것입니다. 한문에 어려운 용어에.. 2022. 4. 12.
주역 64괘 음양 조합의 원리 주역 64괘 음양 조합의 원리 주역의 모든 괘는 음양이 조합해 64괘와 팔경괘를 이루며 음양의 전화법칙을 담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육효는 老, 壯, 少 의 세 단계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시생, 점성, 왕성, 성극, 시쇠, 전복의 6개 자리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팔괘 두 개가 켜켜이 쌓여 있으면 모두 6개의 줄이 생성되는데 그것을 위에서부터 두 줄씩 노, 장, 소로 구분하는 겁니다. 육효는 내괘와 외괘로 나뉘는데 위 세 줄을 외계라 하고 위에서부터 상효, 오효, 사효라 하고 아래 세 줄을 내괘라고 하여 삼효, 이효, 초효라고 합니다. 그리고 양효는 숫자 9로 표시하고 음효는 숫자 6으로 표시합니다. 그리하여 가장 밑에 양효가 깔려 있다면 초구라고 하고 그 바로 윗줄에 음효가 있다면 육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2022. 4. 7.
팔괘별 특성 디테일하게 팔괘별 특성을 디테일하게 나열해 보겠습니다. 팔괘도 대장이 있다면 음양으로 곤괘와 건괘가 있는데 곤괘 밑으로는 태, 이, 손괘가 음의 기운이 강하고 건괘 밑으로는 간, 감, 진 괘가 양의 기운이 더 강한 편입니다. 건 간 감 진 괘 남성미가 강한 건괘의 성향 양효 3줄 건괘의 속성은 굳세고(建) 부모 중 아버지 역할을 합니다. 동물로 따지면 말에 속하고 신체상으로는 머리에 해당합니다. 남자는 하늘 여자는 땅 이렇듯 건괘는 하늘을 의미하고요. 방위는 서북 방향이고 계절은 가을과 겨울 중간에 위치합니다. 그래서 가을은 남자의 계절이라고 하는 말도 있잖아요. 오행으로는 금의 기운에 속합니다. 단편적으로 말띠에 금일주에 가을이나 겨울에 태어난 여성이라면 다소 센 기운이라고 옛날 사람들이 꺼려했을 수도 있겠습니다.. 2022. 4. 4.
문왕팔괘도 문왕팔괘도 진괘 만물이 생장하는 봄으로 방위는 해가 뜨는 동쪽을 가리킵니다. 앞서 서술했듯 진괘는 음효 2개가 양효 위에 올라 앉은 천둥을 상징하는 괘입니다. 그리하여 만물을 깨우고 북적이며 움직이는 기운을 추구합니다. 손괘 양효 두 줄 아래 음효 하나가 깔려있는 손괘는 봄과 여름 사이의 계절을 가리킵니다. 강한 양기 아래 음기가 들어가 있기에 바람을 상징하고 진입하는 성질을 지녔습니다. 이괘 해가 가장 높이 떠있는 내음외양으로 양효 두 줄 안에 음효 한줄이 들어있는 이괘는 햇빛이 사방에 내리쬐는 모습을 상징합니다. 남쪽에 위치해 계절은 하지에 해당하고 성질은 화려합니다. 곤괘 사주 볼 때 남자는 건명이라고 하고 여자는 곤명이라고 하는데 바로 이 곤괘는 삼효가 음으로 구성되었으며 땅을 상징합니다. 곤괘는.. 2022. 3.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