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잡학다식/사주 연구소444

을목의 특징 을목의 특징 음양오행에서 음목에 해당하는 을목은 살아있는 생명을 상징합니다. 특히 잡초처럼 질긴 생명력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을목의 물상으로는 화초, 유실수 등 초록잎이 돋는 모든 식물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연관이 깊습니다. 섬유 및 의류 종이 등도 해당하는데요. 이러한 을목은 아마 인간 사회에서 가장 필요한 게 아닐까 합니다. 그래서인지 사주에 을목이 발달한 이들은 유달리 사회성도 강하고 대인 관계도 원만하며 사람과의 유대를 매우 중시 여깁니다. 그래서인지 사주에서 을목이 발달한 사람치고 혼자 노는 사람은 거의 못 본 듯합니다. 강인한 생명력과 번식력 그리고 원만한 대인 관계로 인해서 을목은 지극히 평범하고 보편적인 사고를 하는 편입니다. 뭔가 유별나거나 특별하거나 그런 것보다 그저 무난하고, 그러면서.. 2022. 8. 14.
갑목의 특징 갑목 사주에서 첫 글자에 해당하는 갑목은 양목에 해당합니다. 음양으로 따졌을 때 양을 의미하는 거구요. 갑목은 탄생과 성장을 뜻합니다. 그래서인지 갑목은 리더쉽과 연관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리더 기질의 속된 표현으로 갑질이라고 하는 것처럼 갑은 대장, 우두머리를 뜻하긴 합니다. 그렇다고 천간 중 갑목이 가장 으뜸이란 소리는 아닙니다. 수직 상승하는 기운이 강한 것일 뿐 천간 중 가장 힘이 세거나 영향력이 크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기본적으로 갑목은 자애롭고 인자하고 깊은 연민 등을 추구하기에 못된 기질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갑목이 물상으로는 큰 나무인지라 물상으로 큰 나무의 특징만을 고려하는 경향이 있는데요. 결코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냥 소나무와 같이 큰 나무의 기백처럼 웅장하고, 포부가 크며 평생 조금.. 2022. 8. 13.
사주 오행별 특징 목화토금수 음양오행 특성에 관해 나열합니다. 갑목과 을목의 특징 사주에서 목은 갑목과 을목이 있는데 갑목은 물을 좋아하되 물을 많이 흡수하는 것은 좋아하지 않습니다. 나무, 즉 본기가 썩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몸 사리면서 꾸준히 수직 상승하는 것을 추구하기에 물이 직접 닿는 것 보다는 필요한 만큼만 적당한 시기에 뿌려주면 이후에는 알아서 잘 저장하고 잘 성장합니다. 반면 을목은 갑목과 달리 물을 엄청 좋아합니다. 생명력 및 생활력도 강하고 척박한 환경에도 잘 적응합니다. 아무리 험한 곳이어도 꿋꿋이 살아남지만 대성하는 경우는 드문 편입니다. 다만 세력을 모아 앞장 서는 것은 가능할지 모르겠으나 자급 자족에 집중하는 성향이라 희생 정신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큰 성공도 못하지만 대신 무너져도 얼.. 2022. 8. 13.
호랑이띠가 아닌 호랑이 날에 태어난 사람들 특징 사주 팔자의 네 기둥이 정확하게 25%씩 차지한다고 치면 태어난 띠나 태어난 날의 비중은 같게 봐야할 것입니다. 그래서인지 호랑이 띠에 태어났어도 양의 날에 태어나면 호랑이보다 양의 성질이 두드러지는 것도 있고요. 양띠임에도 호랑이 날에 태어나면 보통 생각하는 양의 모습이 아닌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물론 단적인 예시라 동물 특징과 같게 봐서는 안 될 일이긴 하지만요. 호랑이 날에 태어난 사람 특징 아무튼간에 사주명리학을 배운 입장에서 타로 카드나 애니어 그램 및 mbti 등 두루두루 공부해 본 입장에서 사주만큼 성향 파악하기 좋은 통계학은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통계학이라고 하기보다는 일종의 인간 종자를 농사직설처럼 풀어 놓은 거라고 해야 하나요. 암튼간에 사주는 알수록 신기하고 놀랍습니다.. 2022. 8. 3.
음양오행에 관하여 사주 오행 음양의 특성과 비교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사주학에서 음양을 아는 것은 필수 오브 필수입니다. 음양은 북유럽 신화에도 공허의 상태에서 뜨거운 불과 차가운 얼음으로 나뉘어 세계가 형성되었다는 스토리가 있듯 동양에도 음양은 공허와 비슷한 무극의 상태에서 태극으로 분열되고 음양으로 분화한 공식이 있습니다. 동양 철학에서 음양은 하나속의 둘로서 공존하는 뗄 수 없는 짝이라고 합니다. 빛이 있으면 어둠이 있듯 모든 상황, 모든 사람은 음양이 반드시 공존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음양을, 소위 음은 악이고 양은 선이란 식의 이분법으로 해석해서는 안됩니다. 사주학에서 음과 양은 서로 조화를 이루기 위한 특질에 불과하지 성정과는 무관합니다. 그러니까 선과 악의 잣대로 볼 것은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시고요. 사주.. 2022. 7. 8.
충이 있는 사주 특징 보기 사주에 충이 있다는 건 기생충 같은 벌레가 있다는 게 아니라 부딪히는 기운이 작용한다는 의미입니다. 글자 그러니까 기운이 부딪히면서 흉한 작용을 만들어 낸다고 보는 거죠. 물론 사주에 충이 있다는 건 긍정적인 것보다 부정적인 요소가 더 강합니다. 특히나 중용, 특히 평정심을 중요시하는 동양 철학에서 형충파해같은 기운은 좋지 않게 보며 피할 수 있으면 피하게끔 조언하고는 합니다. 현대에 바뀐 충 사주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충은 때론 전화위복의 기회 및 각성 혹은 보다 더 진취적인 움직임으로 보고 좋게 생각하는 쪽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옛날에는 호랑이, 용, 말 띠 여자는 팔자가 세다고 꺼리곤 했는데 요즘에는 오히려 경쟁에 강하다고 센 띠에 아이를 낳으려는 걸 보면 확실히 세상이 바뀐 건 분명합니다. 특히 .. 2022. 7. 4.
공망의 특징 사주공부 공망에 관한 보다 전문적인 지식은 위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번 편은 일반인 입장에서 조금 더 쉽게 설명하는데 주력해 보았습니다. 사주 공망에 관하여 https://bit.ly/3O8jS0M [사주공부]공망에 관하여 공망은 천중살 혹은 순공이라고 하는데 천간과 지지로 육십갑자의 짝을 이루었을 때 지지는 남아있으나 천간이 부족하여 두 개의 지지가 짝이 없이 남게 되는 것을 공망이라고 한다. 그래서 남 goodinj.tistory.com 사주에서 공망이란 있어도 없는 것과 같은 덧없는 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0개의 천간이 12지지와 짝을 짓고 남은 두개가 공망에 해당하는데요. 사주에 지지가 공망이면 천간도 같이 공망이 됩니다. 일지를 기준으로 공망을 정하는데, 현대에선 이 공망의 효.. 2022. 6. 19.
합이 많은 사주에 관하여 사주에서 합이 많은 사주를 보면 예전에는 좋게 보았을 수 있겠으나 현대는 뜻을 펴지 못한다고 해서 꺼려하는 편입니다. 즉 좋은게 좋은거지, 가 안 된다는 말. 시종일관 화기애애 합 많은 사주 특징 역동적인 시대에 화합하는 것만이 최선은 아니라는 거죠. 물론 화합하는 것은 좋지만 합이 많은 사주는 뭉쳐서 옴짝달싹못하는 기운이 더 강하기 때문에 가정 혹은 남녀 관계에서만 좋게 작용할 확률이 높다는 겁니다. 대체로 사주에 합이 많은 사람들은 시종일관 화기애애합니다. 두루두루 원만하고 함흥차사도 많고 만나면 헤어질 기미가 안 보일 정도로 칼 같이 관계를 끊지 못합니다. 좋아하는 것도 있고 마음 같지 않게 표현을 못하는 것도 있고요. 가족간에도 유난히 우애가 좋거나 화목한 가정을 보면 사주에 합이 되는 기운이 모.. 2022. 5.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