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다식/사주 연구소

사주명리학 경금에 관하여

by roo9 2021. 10. 22.

경금은 정화를 좋아하고 계수를 꺼린다. 여름생이 경금이 있으면 그 경금을 제하는 것을 기뻐하는 것이 좋은 명식가을생이 경금이 있으면 경금을 돕는 것을 기뻐하는 것이 좋은 명식. 

 

사주 명리학 경금 특징

 

 

봄생의 경금은 좋지 않다고 함. 경금은 토가 많으면 토다매금이라 하여 흙속에 묻힌다경금은 쉽게 갑목을 극할 수 있다. 특히 봄철 경금은 매우 위험하다. 경금은 타간에 비해 특히 조후의 작용이 중요하다.

 

 

경금이 너무 강한 경우

 

경금 자체가 강한 경우는 임수의 설이나 정화의 극을 기뻐한다. 경금을 정화로 조율하면 이롭다. 병화나 계수로 설하는 것은 안좋음.

편인으로 너무 강한 경우는 갑목이나 정화 등을 기뻐한다.

 

 

 

 

경금이 너무 약한 경우

 

경금이 약한 경우는 무토나 기토를 좋아하지만 지지에 수가 있거나 천간에 계수가 있는 것이 좋다. 그러나 경금은 계수가 실패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갑목에 의해 약해진 경우는 경금이나 정화를 기뻐한다. 편관에 의해 약해진 경우는 무토, 기토, 임수, 계수를 기뻐한다. 정관에 의해 약해진 경우는 경금. 계수를 기뻐한다. 그러나 무토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무토에 묻혀서 약해진 경우는 갑목. 경금. 신금을 기뻐한다. 임수에 의해 약해진 경우는 무토나 경금 신금을 기뻐한다. 계수에 의해 약해진 경우는 병화, 정화, 무토, 기토 등을 기뻐한다. 단 경금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경금 오행과의 관계

 

 

 

: 경금은 갑목을 극하는 힘을 충분히 갖고 있으며 특히 정화가 있으면 예리함이 더해진다. 가을의 갑목으로 수가 없는 경우와 겨울의 갑목으로 정화가 있는 경우는 모두 경금을 기뻐한다. 그러나 봄의 갑목이나 수가 있는 갑목은 경금을 매우 꺼린다.

 

:병화는 경금에 대하여 가을,겨울 조후 외에는 모두 해를 주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경금은 병화에 대해 전혀 작용하지 않는다. 경금은 정화에 대하여는 아무런 작용도 주지 않으나 정화는 경금에 대해 좋은 작용을 한다.

: 경금은 무토를 약간 설하지만 무토가 경금을 생하는 힘은 매우 크게 작용한다. 기토는 경금을 약간 생하며 경금은 기토를 설한다.

: 경금과 경금, 경금과 신금 끼리의 관계는 강하거나 약하게 하는 작용이 없다. 다만 명식에서 오행이 서로 옆에 나란히 하고 있는 것을 매우 꺼린다. 부대낌.

 

: 경금은 임수를 생하니 그 힘은 적으며 임수는 경금을 설하나 그 작용은 매우 크다. 경금이 계수를 생하는 힘은 전혀 없으나 계수는 경금을 해하는 작용이 강하며 오히려 설하는 것보다 극하는 작용이 크다. 경금은 특히 토와 수가 많은 것을 두려워한다.

 

 

 

경금이 희신으로 작용하는 경우

 

 

 

+화련진금: 불에 달구어 진금을 만드는 격. 직장근무나 조직 내에서 강한 운을 맞이함. 갑목이나 무토가 있으면 더욱 좋다.

..무 삼간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면 크게 번영하는 상격으로 본다.

 

+득수이청: 선천적인 재능을 다 발휘하여 성공을 거둠. 다만 임수가 기신으로 작용하면 수다금침되어 만사 참견이 많고 실패의 요인으로 작용. 또한, 동절기 출생의 경우는 특히 금한수냉이라 꺼린다.

 

 

경금이 기신으로 작용하는 경우

 

+태백입형: 직장 근무에 적합하지 않으며 그 재능을 발휘하기 어려움.

庚+丁 화열금용: 경금에 정화가 나란히 있어도 마찬가지로 화열금용이라 하여 불이 지나쳐 금을 녹이는 격.

+토다금매: 토가 많아서 오히려 금이 묻히는 격으로 타인으로부터 고군분투하는 격. 그러나 인성 무,기토가 희신으로 작용하게 되면 타인으로부터 조력이나 원조가 많아 길조를 얻는 좋은 운이 됨.

+ 앙금상살: 두 개의 경금이 서로 죽이는 격으로 일생 가운데 한번은 크게 다치는 일이 발생함.

+청추쇄옥: 어쩌다 무서운 성격을 드러내면 큰 사고를 일으킬 소지가 강함.

+보도사료: 생수라 하여 칼에 녹이 쓰는 격. 참견이 많아 실패하는 격. 기신인 임수가 있어도 비슷한 결과. 겨울의 경우 특히 나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