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뜻 봐도 사주에서 화가 많다고 하면 열이 많으니 열정적이고 활기찬 에너지를 지닌 사람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일면 맞는 부분도 있지만 그렇지 않기도 합니다.

화가 많은 사람 특징
사주에서 화가 많은 사람은 눈에 띄는 편입니다. 내면은 어떨지 모르겠으나 확실히 튀는 구석이 있습니다. 멋을 내는 것도 센스가 있다기보다 튀는 것을 선호합니다. 머리 염색을 눈에 띌 정도로 특이한 색상을 추구하거나 과한 액세서리나 복장을 입는 사람들은 대체로 사주에 화가 많습니다. 뭔가 멋스럽지는 않은데 멋 내기를 좋아하는 유형입니다. 화가 많은 사람은 직관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어 예술적 감각이 뛰어난 경우가 많은데요. 거기서 끝날 때가 많습니다. 성공한 예술인들은 오히려 수 기운이 발달한 사람이 더 많은 편입니다. 왜, 그토록 탁월한 재능을 가지고도 발휘를 못 했는가 하면, 화가 많은 사람은 성실함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뭐든 의욕이 앞서고 처음 시작은 누구보다 열정적이지만 끈기가 부족해서 금방 지치고 포기가 빠릅니다. 쉽게 흥분하고 결정을 내리고 변덕도 심한 편입니다.
카리스마와 사회성
화가 많은 사람은 기본적으로 사람을 중시하고 의식하는 편입니다. 혼자서는 절대 견디질 못합니다. 그래서 사람 많은 곳에서 뭔가 발휘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대화를 주도하고 이끌고 싶어합니다. 화가 적당하면 대인 관계에서 가장 매력 있는 인싸가 될 수도 있지만 지나치게 많으면 아무도 좋아하지 않는 나서기 좋아하는 유형으로 취급받을 수 있습니다. 에너지가 너무 지나치게 너무 텐션이 높아 상대방을 피로하게 하기도 하고, 본인조차도 억텐을 올려 제풀에 지치기 쉽습니다. 주장도 강해서 남들과 타협점을 찾기도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그것이 갈등으로 이어지고 트러블 메이커가 되는 거죠. 그래서 화가 많은 사람은 절제와 자기 객관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직업과 취향
화의 기운이 강한 것과 많은 것은 차이가 있습니다. 화의 기운이 그저 많기만 해서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인 사람은 열정으로 인해 모든 것을 망치기 쉽습니다. 이렇게 화가 많은 사주는 처음부터 무리하지 말고 꾸준하게 하는 것을 찾아야 합니다. 아니면 단기간에 성과를 보는 일에 올인해야 합니다. 신뢰를 얻는 직종에서는 두각을 나타내기 어려우니 독보적으로 잘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재능을 펼치면 됩니다.
건강과 자기 관리
당연하게 화가 많은 사주는 열이 많은 체질인 경우가 많으니 심장 질환에 주의해야 합니다. 심장에 문제가 있다 싶은 사람은 거의 대부분 사주에 화가 많습니다. 화가 많은 사람은 운동으로 반드시 땀을 배출해야 합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물론 요가나 명상으로 심신을 평안하게 유지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뭐든 벌컥벌컥 성급하게 마시고 씹는 습관을 버리고 조금씩 천천히 흡입하고 체열을 낮추는 음식으로 체내 균형을 도와야 합니다.
마무리
화가 많다고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닙니다. 남들에게 없는 특징을 최대한 장점으로 활용하면 됩니다. 매사 한 템포 숨을 고르고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며, 먼저 앞서 나가는 것보다는 좌우를 살피고 조율을 잘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속단은 금물, 성급은 금물입니다.
https://brunch.co.kr/@tubetint/390
화가 많은 사주 특징
화(火)의 기운이 강한 사람들은 눈에 띄게 열정적이고 활기찬 성격을 지닌 사람들이 많이 보인다. 마치 불꽃처럼 밝고 따뜻한 에너지를 발산하며, 주변 사람들에게 활력을 불어넣는 경향이 다분
brunch.co.kr
'잡학다식 > 사주 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에서 축토가 품은 생명의 힘 (0) | 2025.04.13 |
---|---|
쥐띠거나 쥐의 날에 태어난 당신의 특징 (0) | 2025.04.13 |
메마른 감성 수가 부족한 사주 대처법 (0) | 2025.04.11 |
사주에서 화의 결핍으로 오는 특징에 관하여 (0) | 2025.04.11 |
물이 많은 사주의 이중적 특징에 관하여 (0) | 2025.04.09 |
사주에서 묘유충과 자묘형의 비슷하거나 다른점 비교 (0) | 2025.03.24 |
자묘형이 무은지형으로 불리는 이유 (0) | 2025.03.23 |
사주공부 공허하고 허무한 공망에 관하여 (1) | 2025.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