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olcol media1594 신금에 관하여 5.8. 신금론 `신금이 유함이 지나치면 극제가 해롭고 설함이 최선이다. `신금을 좋아하는 십간은 병화, 임수, 무토다. 꺼리는 십간은 기토, 특히 임수는 신금에 대하여 강한 것을 약하게 해주고 약한 것을 강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신금은 너무 강한 것을 억제하거나 약한 것을 도와주는 경우에 정화나 기토를 사용할 수 없다. `신금에 목화가 강한 경우는 신,유,술.해,자,축에서 구하며 금수가 강한 경우는 병화나 정화로 도와주게끔 한다. 신금은 특히 지지에서 영향을 많이 받는다. `신금에 의한 종왕격은 되기 어려운 데 申酉와 신왕을 조건으로 한다. `신금은 더울 때는 무토를 좋아하고 추울 때는 정화를 좋아한다. 그 경우 정화가 신금과 나란히 하고 있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한다. 5.8.1. 신금이 너무 .. 2013. 11. 9. 사주명리학 기토에 관하여 기토는 타간에 대하여 임수를 제외하고 대체로 이로운 영향을 준다. 병화와 나란히 다른 삼행과 함께 있는 것을 매우 기뻐한다. 무토는 경금에 대해 작용을 하지만 기토가 경금에 작용하는 경우는 반드시 강한 경우에만 한 한다. 대체로 십간의 간합은 약해지나 기토 간합만은 강해지는 경우도 있다. 기토는 타간의 하수인 작용을 하는 간이다. 희생적이면서 간악한 기질도 동반한다. 일종의 배신 혹은 골탕 등으로 애먹는 경우도 있고. 본인이 출중하면 상사를 능멸한다. 기토가 병화로 인해 특별히 강해지면 계수로 뜨거운 기운을 막아야 한다. 기토가 갑목에 의해 극이 심해도 계수는 구제의 신이 된다. 사주에서 기토가 너무 강한 경우 기묘일주 임수정과 한가인 기토가 지지의 수를 포함하고 있거나 천간에 계수가 있는 경우는 계수를.. 2013. 11. 7. 정화에 관하여 5.4. 정화론 `정화는 건조한 갑목 만을 기뻐하여 습한 갑목이나 을목은 반기지 않는다. 정화가 약할 때는 건조한 갑목이 제일 좋으며 강할 때는 무토가 가장 좋다. `정화는 무토로 인해 적당한 힘을 가지며 건조한 갑목만 있으면 절대 약해지지 않는다. `정화는 다른 천간 등의 생하고 극하는 등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계절에 민감하다. 즉 경금을 조율할 수 있으나 겨울의 정화는 갑목이나 무토의 도움을 받아야 경금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화는 무토만 있으면 강약에서 벗어나 조화를 이룬다. `정화는 기본적으로 갑목이나 무토가 없으면 힘을 쓰지 못한다. 5.4.1.정화가 너무 강한 경우 `갑목의 생조를 받아 강해졌을 경우 무토가 가장 좋다. 5.4.2. 정화가 너무 약한 경우 `갑목의 뿌리가 진토나 해수라면.. 2013. 11. 5. 갑목에 관하여 갑목에 관하여 갑목은 을목의 조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을목은 갑목에 이상적인 계수의 조력을 앗아간다. `갑목은 우선 토를 본 후 水를 써야 한다. `토가 적으면 가지만 무성. `갑목의 이상적인 근은 진토이며 축토도 좋다. `갑목이 너무 강하면 화로 설하기 이전 경금으로만 조율 가능. `봄의 갑목은 金을 두려워한다. 가을 갑목은 경정의(庚+甲+丁: 벽갑인정) 조합을 제일로 삼으며 토를 그다지 기뻐하지 않는다. 겨울 갑목은 반드시 丙화를 필요로 한다. -갑목이 강한 경우 갑목이 너무 강하면(인,묘,진.해,미 등의 뿌리가 있는 경우, 을목은 많아도 강해지지 않음) 경금으로 제압. `식신이 하나 있는 경우 병화 식신을 신금으로 간합하는 것이 가장 좋다. `갑목의 바로 옆에 기토가 첩신해 있으면 갑목이 강해.. 2013. 11. 1. 도예가 권대섭 작품 도예가 권대섭은 백색의 깊고 소박한 멋이 은은하게 밴 자기를 만드는 게 특징이다. 고졸한 멋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독특한 미감을 발휘하는 작가로 정평이 나있다. 또한, 권작가의 작품은 지극히 전승적, 전통적이면서 창조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달항아리 분야에서는 국내 1인자로 꼽히는 그는 중대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서 20대 후반 즈음에 인사동의 골동품가게에서 우연히 달항아리를 보고는 그 멋에 깊이 빠져 도예의 길로 입문한 케이스다. 달항아리 대가 그 후 그는 일본에서 도자 공부를 하여 현재까지 달항아리 작업에 심취하였는데 그는 달항아리야말로 미니멀리즘의 정수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권대섭은 순박하면서 도시적 세련미를 담는데 주력한다. 백자를 아는 것이 인생의 보석을 즐기는 것이라고 하는 만큼 그는 꾸밈없으며.. 2013. 10. 21. 이강효 도예가 작품 이강효 도예가 작품 세계 소고 이강효 도예가는 탁월한 조형미와 박진감 넘치는 선, 절제된 색감 및 토속적 질감의 항아리와 차사발이 유명하다. 그의 작품은 질박한 손맛이 느껴지면서 탁월한 비례미와 세련미가 일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통 옹기 기법에 분청 기법을 응용해 현대화 하는 작업이 특징인 그는 개성이 담긴 투박한 질감과 서민적인 아름다움이 멋들어진다는 평이다. 이강효의 작품이 인상적으로 와 닿은 부분은 절제된 가운데 두드러진 색감 그리고 ㅍ박력 넘치는 활력에 있다. 한마디로 그의 작품은 에너지가 넘친다. 분청 자기의 우아함과 단순성을 바탕으로 대담하고 단단한 힘이 느껴지면서 세련되고 풍부한 색감을 표현하는 에너지 넘치는 힘이 그의 작품의 원천. 게다가 지나침이 없이 절제가 바탕이 된 절묘한 심플함에 .. 2013. 10. 20. 신약한 사주와 신강한 사주의 차이 사주의 격을 살필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신약, 신강의 구분입니다. 자신의 사주가 신약 하다는 건 자신을 치는 기운이 많다는 거고 신강한 것은 자신의 편이 많다는 겁니다. 그러나 신약 하다고 무조건 나쁘고 신강한 것이 무조건 좋은 건 아닙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약간 신약한 사주가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즉 신강과 신약은 성향의 차이일 뿐 그것으로 우위를 따지면 안 됩니다. 신약한 사주와 신강한 사주 특징 대체로 여자는 다소 신약한 사주가 좋고 남자는 신강한 게 좋다고 하는데 그것도 다 옛말입니다. 과거에는 외유내강을 미덕처럼 여겼기에 그리 본 것 같고요. 외유내강이 꼭 신약한 사주도 아닙니다. 그런 것과는 상관없이 만세력 보거나 어디가서 사주 봤더니 신강하다 혹은 신약하다는 소리를 들었다면 그에 따른 대.. 2013. 10. 5. 에버랜드 문라이트 퍼레이드 에버랜드 문라이트 퍼레이드 10세 미만의 아동과 함께 구경한다면 환상의 세계로 빠져들게 할 수 있는 좋은 기회. 현란한 광채 때문에 뭐에 홀린 기분..ㅎㅎ 2013. 9. 24. 이전 1 ··· 170 171 172 173 174 175 176 ··· 20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