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포 선셋》은 리처드 링클레이터 감독의 '비포 3부작' 중 두 번째 작품으로, 1995년작 《비포 선라이즈》의 속편입니다. 이 영화는 전작에서 우연히 만나 하룻밤 동안 빈을 거닐며 사랑에 빠졌던 제시와 셀린느가 9년 만에 파리에서 재회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실시간에 가깝게 담아냅니다.
📢 스폰서 링크
1. 시간이 머물다 간 자리 영화 비포 선셋 정보
제목: 비포 선셋 (Before Sunset)
- 개봉 연도: 2004년
- 감독: 리처드 링클레이터 (Richard Linklater)
- 각본: 리처드 링클레이터, 줄리 델피, 에단 호크 (세 배우는 각본에 직접 참여하며 실제적인 대화와 감성을 불어넣었습니다.)
- 출연:
- 에단 호크 (Ethan Hawke) - 제시 역
- 줄리 델피 (Julie Delpy) - 셀린느 역
- 그 외 베르농 도브체프 (Vernon Dobtcheff) 등
- 러닝 타임: 약 80분 (영화의 실제 진행 시간과 거의 일치)
- 장르: 로맨스, 드라마
- 주요 특징:
- 대화 중심: 영화의 대부분은 제시와 셀린느 두 사람의 대화로 이루어집니다.
- 실시간 진행: 약 80분간의 러닝 타임이 영화 속 시간과 거의 동일하게 흘러갑니다.
- 파리의 풍경: 아름다운 파리의 거리를 배경으로 두 사람의 대화가 이어집니다.
- 전작의 연속성: 《비포 선라이즈》의 팬들에게는 더욱 깊은 감동과 공감을 선사합니다.
📢 스폰서 링크
2. 영화 줄거리
9년 만의 재회, 파리에서의 짧은 시간
영화는 9년 전 빈에서 헤어진 후, 각자의 삶을 살아온 제시(에단 호크)와 셀린느(줄리 델피)가 파리에서 우연히 재회하는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제시는 그날 밤의 이야기를 담은 소설 **"This Time"**을 발표하고 파리에서 북 투어의 마지막 일정을 소화하고 있습니다. 파리의 한 서점에서 사인회를 하던 중, 책을 통해 제시의 이야기를 알게 된 셀린느가 그를 찾아옵니다.
제시는 공항으로 떠나기까지 약 1시간 30분 정도의 여유밖에 없는 상황. 두 사람은 이 짧은 시간 동안 파리의 거리를 거닐며 못다 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9년 전, 빈 기차역에서 6개월 뒤 다시 만나기로 약속했지만, 셀린느의 할머니가 돌아가시는 바람에 만남이 불발되었던 비하인드 스토리가 밝혀집니다.
변화된 삶과 여전한 감정
두 사람은 그동안의 삶에 대해 솔직한 대화를 이어갑니다. 제시는 미국에서 결혼하여 아들을 둔 작가가 되었고, 셀린느는 프랑스에서 환경 운동가로 활동하며 남자친구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겉으로는 각자의 삶을 충실히 살아온 듯 보이지만, 대화가 깊어질수록 서로에 대한 그리움과 지난 만남이 각자의 삶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쳤는지 드러납니다.
제시는 자신의 결혼 생활이 행복하지 않으며, 셀린느와의 하룻밤이 자신의 연애관과 결혼관을 얼마나 바꾸어 놓았는지 고백합니다. 셀린느 역시 빈에서의 만남 이후 어떤 관계도 완벽하게 느껴지지 않았음을 토로하며, 자신의 현재 연애에 대한 회의감을 드러냅니다.
솔직한 감정의 교류와 불안한 미래
두 사람은 정치, 환경 문제, 사랑, 관계, 그리고 인생의 실망감 등 다양한 주제를 넘나들며 심오한 대화를 나눕니다. 9년이라는 세월이 흐르면서 외적인 모습은 변했지만, 서로에게 여전히 강하게 끌리고 있음을 확인합니다. 그들은 서로에게 솔직한 감정을 털어놓으며, 지난 9년 동안 잊고 지낸 줄 알았던 감정의 불씨가 다시 타오르는 것을 느낍니다.
영화는 제시가 비행기를 타기 위해 셀린느의 집을 떠나야 하는 순간까지 두 사람의 대화와 감정의 흐름을 놓치지 않습니다. 셀린느의 아파트에 도착한 제시는 시간이 다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행기를 놓칠까 봐 불안해하면서도 셀린느가 부르는 노래를 듣습니다.
열린 결말
영화는 제시가 셀린느의 아파트에 머물며 비행기를 놓칠 것임을 암시하는 열린 결말로 마무리됩니다. 그의 마지막 대사인 "Baby, you are gonna miss that plane." 이 대사는 제 제시가 셀린느에게 완전히 매료되어 떠나지 못할 것임을 시사하며, 관객들에게 두 사람의 관계가 앞으로 어떻게 될지에 대한 무한한 상상을 남깁니다.
《비포 선셋》은 단순히 두 사람의 로맨스를 넘어, 시간이 흐르면서 변하고 또 변치 않는 인간의 본질, 관계의 복잡성, 그리고 삶의 선택에 대한 깊은 사유를 담아낸 작품입니다. 대화만으로도 관객을 몰입시키는 뛰어난 각본과 에단 호크, 줄리 델피 두 배우의 완벽한 케미스트리가 돋보이는 영화입니다.
3. 마음에 드는 대사 모음
"며칠 전에 악몽을 꿨어. 꿈에 내 나이가 서른둘인 거야. 놀라 깨보니 스물셋이더군. 안심했지. 그런데, 진짜로 깨어보니 서른둘인 거야."
4. 기억 속에 남겨둔 완벽함의 무게
제시와 셀린느는 각자의 삶을 살아왔습니다. 제시는 결혼했고, 셀린느는 여러 연인들과 헤어졌습니다. 하지만 그 9년 동안 둘 다 비엔나에서의 그 밤을 잊지 못했습니다.
"난 아무도 쉽게 잊은 적 없어. 누구나 저마다 특별함이 있거든. 누가 떠난 빈자리는 새 사람을 만나도 그대로 남아. 잃어버린 사람은 잃어버린거야."
"결혼 날짜를 잡고도 네 생각뿐이었어. 결혼식장 가는 차 안에서 창 밖을 보다가 네 모습을 봤다고 생각했어. 우산을 접으며 소시지 가게에 들어가더군. 내가 미쳐가는구나 싶었지. 브로드웨이 13번가였어."
"난 11번가에 살았어."
📢 스폰서 링크
5. 모든 것을 쏟아부은 사랑의 대가
"너와 보낸 그날 밤 내 모든 로맨티시즘을 쏟아부어. 내겐 아무것도 남은 게 없어. 네가 나의 모든 것을 가져가버린 것 같아."
"내가 사귄 남자들은 다 결혼했어. 나랑 끝나면 결혼하더라. 그리고는 전화해서 고맙대. 진정한 사랑을 가르쳐줘서. 나쁜 자식들. 왜 내겐 청혼 안 해? 거절했겠지만!"
6. 꿈에서라도 만나고 싶은 사람
제시의 꿈 이야기는 더욱 절절하다.
"늘꾸는 꿈이 있어. 나는 플랫폼에 서 있고 너는 기차를 타고 내 곁을 스쳐가. 스쳐가고 스쳐가고 또 스쳐가지. 땀 흘리며 깨어난 나는 또 다른 꿈을 꿔. 임시한 네가 벌거벗고 내 옆에 누워 있어. 너는 싫다지만, 어쨌든 난 너를 만지지. 네 피부가 너무 부드러워서 울면서 깨어나면, 아내가 날 보고 있어. 그녀는 100만 마일은 떨어져 있는 것 같아."
"복권 당첨자와 전신마비 환자를 관찰한 연구 결과, 닥친 상황은 서로 극과 극인데 6개월 뒤에는 양쪽 모두 본래 성격으로 돌아가더래. 명랑한 사람은 휠체어를 탄 명랑한 사람으로 살고 뒤틀린 인간은 캐딜락과 요트 가진 뒤틀린 인간으로 살더래."
"그럼 난 평생 우울하게 살겠네."
"당연하지."
📢 스폰서 링크
마지막 마무리
《비포 선라이즈》를 보고 9년 만에 나온 이 속편에서 에단 호크와 줄리 델피는 정말로 9년을 함께 늙었다. 초라하게 늙었다고 할 수도 있지만, 그래서 더욱 멋있다. 마치 실제 연인 같은 그들의 자연스러운 연기는 대사를 자유롭게 하도록 내버려둔 덕분이라고 한다.
그 결과 우리는 극장에서 두 사람의 진짜 대화를 엿듣는 것 같은 착각에 빠진다. 이보다 더 완벽한 연기가 있을까.
《비포 선셋》은 시간에 대한 영화다. 잃어버린 시간, 기다린 시간, 후회하는 시간. 그리고 다시 찾은 시간. 파리 거리를 걸으며 나누는 그들의 대화는 9년이라는 시간을 압축하고, 동시에 영원으로 확장한다.
영화가 끝나도 우리는 그들이 어떤 선택을 할지 알 수 없다. 하지만 그것이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이 순간, 파리 오후의 햇살 아래서 그들이 나누는 이 대화 자체일지도 모른다.
《비포 선라이즈》도, 이제 《비포 선셋》도 오래 전의 영화가 되었다. 하지만 이 대사들은 기억처럼 저장해 두고 싶다.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어떤 진실들이 거기 있기 때문이다.
🔗 이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영화 말할 수 없는 비밀 추천 리뷰 이 글에서 다뤘어요.
'colcol media > 미디어 리뷰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관상 관람 후기 (0) | 2013.09.22 |
---|---|
여왕의 교실 리뷰 (0) | 2013.07.25 |
잘 만든 드라마 황금의 제국 (0) | 2013.07.17 |
전지현 휘슬러 냄비 광고 (0) | 2013.07.03 |
역대 맥심 광고 모델 보기 (0) | 2013.06.01 |
드라마 내 연애의 모든 것 리뷰 (0) | 2013.05.01 |
드라마 장옥정 사랑에 살다는 남인천하일 듯 (0) | 2013.04.09 |
뉴스스탠드 개편으로 매체의 퀄리티가 한 눈에 보이기 시작함 (0) | 2013.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