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접근하는 시각은 다양하다. 영화는 예술가들의 창조적인 노력과 기술적인 발전 또한 그와 동시에 이루워졌던 상업적인 마인드가 결부된 것.
영화 상품 성공 사례
1895년 파리의 그랑 카페에서 뤼미에르의 <열차의 도착> 상영
1915년 그리피스< 국가의 탄생> 5000만 달러의 흥행 수입
1939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3억 9천 50만 달러의 흥행 수입 기록. 현재까지 헐리웃 영화 최고의 흥행 영화로 기록
1993년 스티븐 스필버그 <쥐라기 공원> 8억 5천 만 달러 수익
1997 카메론 <타이타닉> 18억 3천 5백만 달러. 총 제작비의 7배가 넘는 기록 역사상 초유의 기록
2004년 강제규<태극기 휘날리며> 최초로 천만 관객 동원.
영화 상품이란?
영화를 예술가들의 창조적 노력. 기술의 집약체. 결합체. 산업적. 경제적 마인드로 접근할 것인가에 따라서 영화를 보는 시각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 영화를 상품 혹은 산업적 마인드로 바라보는 것은 무엇인가.
영화를 어떤 방식으로 소비하는 가. 왜 영화를 보는가와 결부 시킬 필요가 있음. 영화란 상품은 다른 모든 미디어 매체와 마찬가지로 오락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영화는 여가 선용의 수단으로 활용. 그것을 즐기기 위한 대가를 지불해야 함. 즉 주고받는 무언가가 존재한다는 의미에서 영화를 상품으로 간주.
텔레비전과 영화의 차이점
텔레비전은 돈을 주고 시청한다는 느낌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없다.
텔레비전이란 매체는 개인적인 성격이 강하다.
영화는 현대에 소비 방법이 다양해지긴 했지만(인터넷이나 텔레비전으로 가능) 그러나 전통적 의미에서의 영화는 의례적 행위로 간주.(최소한의 노력을 행사한다는 의미. 극장 가서 티켓 구입하고 상영관에 들어가서 본다는 의미)
따라서 산업적 마인드로 접근하는 이유가 됨.
영화를 상품으로 보는 이유 중 하나는 공동의 창작의 결과물 이라는 점.
제품이 생산되고 유통되는 방식으로 배급과 상영이 이루어진다.
영화 상품이란 무엇인가
영화를 산업으로 바라 볼 것인가. 예술로서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고찰. 영화는 산업임과 동시에 예술로 간주. 산업과 예술이 대립 관계가 아닌 상생 관계에 더 가깝다.
영화는 산업 혁명과 기술의 발전이라는 근현대사에서 커다란 전환점에서 탄생. 기술 발전이 영화 예술 발달에 기여하고 이윤 창출이라는 공고한 기반 마련. 1885년 뤼미에르 이후 수많은 발전을 해 옴. 한마디로 영화는 예술이자 상품이다. 거의 모든 영화는 예술성과 상품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따라서 예술과 상품을 배제할 수 없다. 상업성이 있는 영화는 예술성이 없는 영화일까. 아니라는 결론.
영화의 성격
상품과예술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1.영화는 텔레비전이나 비디오, dvd, 라디오 등과 다르게 공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극장에서 여러 사람과 스크린을 바라보는 행위)
2.질높은 영상과 음향을 제공하고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시스템.
3.다른 산업과의 밀접한 연관을 바탕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상품.
(한편의 영화가 dvd, 텔레비전, 인터넷 등으로 파생)
4. 영화는 부분적 공공재다.
상품은 재화와 서비스로 구분
재화는 정보재/유형재, 사적재/공공재로 구분할 수 있다.
유형재는 만질 수 있는 것. 정보재는 직접 전달되긴 하지만 만질 수는 없는 것.
사용 측면에서 공공재는 공공의 영역에 존재하는 재화이며 사적재는 사적인 영역의 재화.
영화를 구분하자면 공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공공재적 성격.
순수한 의미의 공공재 성격에 대한 의문.
영화는 의례적 행위를 감안할 때 누구에게나 개방되어있는 순수하고 온전한 의미의 공공재는 아니다.
텔레비전이나 영화를 공공재 혹은 부분적 공공재라고 하는 구분은 사용에 따른 구분이지 제작이 주체가 된 구분이 아니라는 것. 사용하는 사람이 어떻게 사용하는 가에 따라서 나뉘어진 개념.
텔레비전은 순수한 의미의 공공재. 영화는 부분적 공공재.
영화 상품은 이윤창출을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문화 상품이기도 하다.
5. 영화는 정보재이다.
영화는 경험재이다. 영화란 상품은 보도, 듣고 경험하는 것이다.
생산과 소비의 비대칭성이 발생하기도 한다. 즉 정보의 양이 다르다. 제작 주체와 관람 주체가 애초에 가지고 있던 정보의 양이 다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정보의 비대칭성 때문에 마케팅이 개입되는 것. 소비자는 각종 미디어와 서적을 통해 사전정보를 습득하려고 노력한다.
정보의 비대칭성의 수위 조절은 상당히 민감한 수위. 원활히 해결 시스템 중에 장르, 스튜디오. 스타 시스템 등이 있을 수 있다.
영화는 비반복재이다. 영화는 반복적인 소비가 제한되는 상품. 한 편의 영화가 생산되었을 때 한 두 번 관람 후에는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 즉, 반복적으로 소비될 수 없다는 말. 따라서 비반복재다. 영화는 사치재이다. 영화란 상품이 없어도 의식주 생활 영위에 지장이 없음. 즉 필수적인 재화가 아니다.
그러나 문화적.사회적 가치를 창출해내는 정신적인 자양분이 됨.
영화 상품의 특성
1.고위험 고수익 산업 속엣의 상품이다.
정보재. 경험재이기 때문에 측정 불가.
필수재가 아닌 사치재이기 때문에 흥행 여부 예측 불가.
2.영화 콘텐츠는 여러 단계를 통해 소비될 수 있다.
고도 사회. 디지털 융합화로 더 강해진 추세.
한 편의 영화가 극장 상영을 마친 후 여러 경로로 재생산 되고 있는 현상.
3.영화는 상대적으로 짧은 수명을 가진다.
정보재이기 때문에. 반복된 소비가 아니기 때문에
4.스타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영역
5.영화는 생산과 관리가 이원화 된 상품
영화 산업의 3요소
생산자. 소비자. 상품
제작자. 관객. 영화(텍스트)
영화 3요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관객과 영화 테스트가 만나는 지점
'colcol media > 미디어영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전략 (0) | 2014.04.01 |
---|---|
미디어 비평의 기초 (0) | 2014.03.24 |
한국 미디어 교육의 역사 및 특성 (0) | 2014.03.18 |
광고의 기본 전략 (0) | 2014.03.17 |
멀티미디어 기획 제작 방법 요점 정리 (0) | 2013.12.09 |
서베이의 정의 (0) | 2013.12.05 |
미디어 실험 연구 (0) | 2013.12.03 |
미디어 조사 연구의 발전 과정 (0) | 2013.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