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편성 결정의 외적 조건
법적/제도적 조건: 개인. 사회. 국가적 이익에 관한 헌법상의 법조항.
방송법, 청소년 보호법, 방송통신위원회 등 편성에 영향을 줌.
방송사의 이념 및 목표: 방송사의 이념은 편성이념으로 구체화 된다. 편성의 목표는 방송 제도에 따라 차이를 두며 공영 방송, 상업 방송에 따라 이념과 목표에 차이가 있다.공영 방송의 경우 특히 공익성에 염두한다는 점을 명시.
수용자 조건: 다채널 시대의 경쟁 상황으로 수용자의 중요성이 커졌다. 수용자의 사용 여건과, 생활주기 반영이 필수로 작용.
시청자의 생활주기는 재택 정보, 기상, 출퇴근 등 이동 정보 및 이와 관련한 정확한 정보가 요구된다.
경쟁 매체 상황: 타채널과의 경쟁 관계의 고려는 필수다. 인터넷, 케이블 티브이, 위성 방송 같은 이종 매체와의 경쟁관계 및 티브이 시청 이외의 타매체 이용 현황 등의 분석이 요구된다.
사회적 분위기: 수용자가 처한 사회적 분위기를 의미한다. 사회 폭력 증가시 자연 다큐멘터리 등을 집중 편성하여 사람을 순화시키는 전략 같은 것도 포함하고 시민 단체의 영향으로 프로그램의 존폐 여부가 달리기도 한다.
방송 편성 결정의 내적 조건
정책 조건: 방송사의 운영 철학, 경영 이념 방침 등을 의미한다.
제작 여건: 인력, 재정, 시설이 적절히 유지될 때 우수 프로그램의 편성과 제작이 가능하다.
물리적 여건-장비 시설 구축에 관한
예산 여건- 합리적 지출 배분, 연간 매출액, 광고비,
인력 여건- 제작 인력 능력, 협조 체제, 작가나 출연자 등 인력에 대한 정보.
방송 편성의 과정
기획 단계: 편성의 첫 단계이며 자.타사 경쟁력 파악이 필수다. 기초 자료를 수집하여 제작비 등을 검토하고 경쟁력있거나 취약한 요일, 시간 및 프로그램 주시청층 등의 분석이 이루어진다.
시청률 조사와 사회조사관련을 통해 개편의 기본 방향이 결정된다.
결정시는 방송사의 이념과 경영방침, 규제및 예산 규모 등을 고려하는 것도 필수.
편성 단계:관련 부서와 협의 후 편성의 기본 틀을 확정한다. 요일별, 시간별 배열하는 단계. 시간대별 적절성을 제작진과 검토. 시간대별 시청률 자료 참고. 동일 프로그램을 다른 시간대 편성시 시청률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 감안. 시간대 선택은 수용자의 이용 가능성, 수용자의 활동 상황, 요일별 수용자의 욕구와 취향, 시간대별 계절별 시청 행위의 독특성을 참고한다.
보통 월요일에는 수용자의 정보 욕구가 상대적으로 높고 주말에는 휴식과 여가를 위한 욕구가 더 강하다고 함.
제작단계: 프로그랩 기획안을 수집 검토와 시제품 제작 평가에 들어가며 제작 프로그램을 결정한다.
자체 제작과 외주 제작으로 나뉜다.
제작된 프로그램 방영 한 달 이후부터 평가를 받고 제작 여부를 반영한다.
편성 업무
TV편성 업무:일일 단위로 방영할 프로그램 및 특별 편성을 결정. 프로그램 방영시간, 방영시간대, 광고 시간대 등 전체적 조절.
편성기획부: 프로그램 개발 관련 기획 및 개편 업무.
외주제작부:편성기획부와 외주 프로그램 내용, 제목, 경향 등을 결정한다. 독립제작자와 함께 기획 의도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제작 업무를 수행함.
ACQUIRED PROGRAM-외주 프로그램에서 이미 제작된 프로그램
COMMISSIONED PROGRAM: 새롭게 제작하는 프로그램
방송 운행 업무: 방송 운행 담장자는 마스터 디렉터 MD라고 함. 방송 개시부터 종료까지 방송 운행을 지휘 통제한다.
방송 편성 업무와 개편 업무
편성 업무: 목표 시청자와 관련/판매시장관련 등 각종 자료 수집을 하고 수집한 자료를 기초로 시청자의 흥미 유도 방안을 모색한다. 시청률에 따라 재편성. 유지 등이 결정
개편 업무: 프로그램 개편에 관한 편성 업무다. 한국 지상파 방송은 연 2회 봄/가을 개편이 보편적이고 전략적으로 재배치한다. 미국의 경우는 수시로 편성하고 가을철 대대적으로 편성한다. 개편 과정은 방영중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여론 수렴 후 개편 대상을 결정한다.
개편 절차
1단계: 개편의 큰 방향 잡기. 공영성과 시청률의 제고 우선 설정. 시간대/포맷과 주제 결정.
2단계: 폐지 프로그램 결정 이에 따른 기준은 시청률이다.
폐지결정은 편성부와 관련부서의 합의에 따른다.
3단계: 시간대 변경 프로그램 설정. 이 역시 시청률에 기초한다.
4단계: 해당 부서에서 신설 프로그램 기획안을 검토한다.
중장기. 편성 방향 설정- 새로운 포맷 개발 등 방향 설정. 외국 동향 파악 후 우리 현실에 접목하여 가능성을 검토한다. 외주 비율 등 편성 정책 변화에 대응 방안과 수집도 담당.
정규편성과 임시 편성
정규편성은 기본 편성과 주간 편성 그리고 일일 편성으로 나뉜다.
기본편성-4/10월 개편 시기. 프로그램 순서와 배열이 기본
주간편성-기본 편성을 횡적 요일별로 본 것. 평일과 주말을 달리 편성.
일일편성-하루 방송 시간을 종적으로 본 것.
임시편성-탄력적 편성위한 것. 특집이나 이벤트로 구분하고 특수한 상황 발생시.
'colcol media > 미디어영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과적인 크리에이티브 전략 (0) | 2021.07.08 |
---|---|
미디어 연구 방법의 개요 및 이론 (0) | 2021.07.03 |
PPL의 효시와 영화 산업 연관성 (0) | 2021.07.02 |
이동 통신의 역사 (0) | 2021.06.30 |
광고 기획의 정의 (0) | 2021.06.27 |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0) | 2021.06.24 |
방송의 개념 및 이해 (1) | 2021.06.22 |
드라마 구성 특징 및 작성법 (0) | 2021.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