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의 정의
사진은 프레이밍이다.
-네모난 창으로 시 공간을 잘라 내는 것이고 사진가의 의도를 담아내는 것이다. 사진은 포토그래퍼의 판단과 선택, 관점. 의도를 보여주는 거다. 그래서 사진은 세상을 보는 눈이다. 사진은 감각 지각 인식의 과정을 통한다.
사진의 사실성
사진은 사실을 말하되 부분적 진실. 단편적 사실만 말해준다. 그래서 사진을 사실이 아니라 사실적이라고 표현한다. 그러니까 사진은 같은 대상으로 다른 해석을 하게 됨.
대표적 사진가
작가 이모젠 커닝햄은 미국 여류 포토그래퍼이다. 그녀는 기계적 이미지 미학 강조. 인간의 시각이 보지 못하는 시각 세계의 아름다움을 구현한 작가로 유명하다.
로버트 메이플소프는 꽃을 식물의 생식기로 해석.
어빙펜-60년대 유명 패션 사진가. 망가진 꽃을 광고적 기법으로 표현.
론 반돈겐- 네덜란드 출신. 꽃의 아름다움을 구조적 분석의 시각으로 보여줌.
애나멘디에타-대지 예술가. 살리는 대지 예술. 생명을 만드는 여성적 대지 예술을 모색.
마이클웨슬리-꽃이 피고 지는 생명주기를 담음.
조엘 메이어로위츠- 일상속에 활용되는 꽃을 모티브로 희노애락을 담음.
사진의 의미를 읽어야 하는 이유: 중요한 의사 전달 매체. 문자보다 영상. 이미지 언어로의 소통이 효과적이다 인식. 소통의 매체를 쥐게 되는 것. 첫 눈에 알 수 있는 정보와 내재된 다른 의미는 쉽게 알지 못하기 때문. 비판적, 객관적. 소통의 도구로 활용해야 함.
사진의 의미를 만드는 요소:
1.대상성-캐스팅
2.기계성- 매카니즘. 렌즈. 조리개. 셔터. 필터. 플래시. 등등..
3. 촬영태도- 눈높이. 거리. 위치. 빛. 톤. 기울기 등..
4. 사진재료- 필름.디지털. 인화지. 액자 형식.
5.텍스트- 사진에 붙은 기사. 캡션. 소개. 제목.
6.사회적 맥락- 사진이 존재하는 사회적 위치
7.문화적 배경- 문화적 이해가 수반될 때 더 깊이 이해.
8.개인적 요소-개인적 경험. 취향에 따라 다르게 느낌.
사진의 발명과 확산
-니세포르 니엡스: 유태역청과 라벤더 오일 이용. 헬리오그래피라 부름.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선명하지 않음.
-다게르: 빛을 받은 은에 수은가수를 쬐면 검은 아말감이 변질 되는 원리 이용. 선명하고 시대 감수성과 잘 맞음. 누구에게나 쓸 수 있게 하였으며 상표 등록. 1839년 8월 19일 최초의 사진 탄생일이 됨.
-탈보트: 종이에 은을 발라 인화. 아무나 쓸 수 없게 함.
-이폴리트 바야르: 본인이 먼저 발명했다며 억울함을 호소하고자 자살한 자화 사진을 남기고 죽음. 이것이 최초의 셀프 포트레이트가 되기도 함.
-존 허셀경: 싸이오 황산염을 이용한 정착기술 발명. 빛으로 그린 그림이란 포토그래피란 용어 명명.
사진 발명의 과정과 확산
산업혁명 이후 볼거리 증가- 보는 것에 열광- 이미지 욕구 팽창에서 비롯.
-사진 발명의 의미
-시각 문화를 바꾸어 높음.
근대인의 욕구 충족. 대량. 신속. 정확한 이미지 생산 가능.
정치 경제학 차원에서 이미지를 민주화. 대중화 시킴.
기존 비싼 그림에서 저렴하고 대중화된 소유 개념으로 바꿈.
초상 사진-탐사-풍경 순으로 발달함.
문화 예술로서 사진 발달.
초기 사진 문화-낭만주의 아래서 비난을 면치 못함. 예술로서 수용되지 못함.
아카데미즘 사진-국가적 차원에서 계몽적인 것을 담고 있는 사진 정도, 레일랜더의 '인생의 두갈래길'이란 사진을 영국 여왕이 구매하면서 예술로 인정되기 시작.
자연주의 사진- 피터헨리 애머슨 인간의 시각을 따가가며 자연주의 스타일 추구.
픽토리얼리즘 사진- 이미지를 아름답게 만들겠다는 의지를 담음. 하지만 회화를 모방하지는 않았음.
형식주의 사진-유럽의 디테일 없애는 예술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던 사진에 비해 미국은 디테일을 살리는, 즉 기계적 이미지를 살림.
성장하는 미국의 힘과, 미국주의를 보여주며 독보적 발전. 미국 형식주의 사진 특성은 사진만의 순수한 영역 의식.
모더니즘 예술의 시작으로 분류. 예술가 주체를 확립함.
예술 사진에 나타나는 신체
우리 시대의 화두는 신체. 사진은 문화를 다루는 것이다. 신체란 인간이 존재하는 가장 기초적인 물질 기반.
1960년대 후반부터 중요성 대두.
셀프 포트레이트
자신이 찍는 것. 자신이 피사체가 되는 것.
셀프 포토의 기준: 자신이 직쩝 찍지 않아도 자신의 의도에 의해서 제작되었다면 주인이 작가라 여김.
셀프 사진의 표현 방식- 예술적 유희. 자아 성찰. 존재의 불안함 해소. 실존에 대한 갈망. 존재 확인. 자신의 신념에 대한 발언의 도구. 신체는 문화적 해석과 발언의 강력한 도구를 사용하기 때문.
'colcol media > 미디어영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중문화의 질적 평가와 정체성 (0) | 2021.10.05 |
---|---|
뉴미디어에 관한 총정리 (0) | 2021.10.04 |
백선기의 대중문화론 리뷰 (0) | 2021.10.02 |
조직 커뮤니케이션에 관하여 (0) | 2021.10.01 |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방해 요소 (0) | 2021.08.24 |
방송을 보는 수용자의 태도 분류 (2) | 2021.08.09 |
대중의 고급 문화와 저급 문화 소고 (0) | 2021.07.30 |
영화의 탄생 히스토리와 영화 발전사 (0) | 2021.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