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의 질적 평가에 대한 소고
1.대중문화의 질적 평가
19세기 중엽은 대중사회가 발전한 시기다. 대중이 정책의 주체 세력이 되며 많은 영향을 미친 시기였지만 지성인들 입장에서는 수준이 높지 않은 그들이 득세하게 되면 문화의 질이 낮아지지 않을까 우려했다.
히틀러 체제는 대중매체를 이용해서 대중을 조종, 지배를 일삼았다. 대중매체는 소수가 제작한 매체를 다수에게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중매체를 만든 사람의 의도에 따라 대중의 의식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커진다. 소수가 장악하는 문화를 통로로 한 대중문화는 문화 수준을 저하시킬 것이란 우려는 현재도 진행형이다.
영국 시인 매튜 아놀드 및 20세기 프랑크푸르트 학파도 이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하였다.
그러나 20세기 중반에 조금씩 변화가 되기 시작하였는데 대중의 수준이 높아졌고 교육 수준의 상승 탓이 크게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1880년에 미국의 대학생이 2%였던 반면 1950년대는 30% 70년대는 48%로 늘어났고 현대는 과반을 훨씬 넘은 수치지만 설령 대학 교육을 받지 않더라도 전반적인 교육 수준이 비슷한 편이다. 다만 교육 수준은 비슷하지만 뉴미디어 등의 정보 격차가 가속화되어 사회 적응 및 정보 전달에 있어서 격차가 발생하고 있는 게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2010년 한국 사회 학령 인구 중 대학 졸업자는 64%에 육박하기에 대중문화가 수준이 낮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현실이지만 점점 뭔가 획일화되어서 오히려 선동에 취약해 지는 건 아닌가 하는 우려가 된다.
예전에는 대중 문화의 수준을 예술성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대중은 수준이 낮다고 보았던 것.
점차 새로운 대중 문화 생산자의 등장하는데 밥딜런, 존 레논 등 자의식적으로 대중문화를 만드는 모습을 보이며
대중문화를 문화적 산물로 보기 시작하였다. 밥 딜런이 2016년에 노벨 문학상을 탄 것을 상기하자.
대학가에도 대중 문화에 관련한 인력 양산하며 수준이 높아지기도.
이렇게 대중문화의 수준과 향유하는 수준이 높아지며 대중문화가 저급하다는 것은 구식이지만 여전히 잔재는 남아있다. 교육 여부로 인한 대중의 계층은 무의미해졌는지는 모르겠으나 빈부 격차로 인한 문화 향유의 차이는 여전히 발생하면서 수준차가 나는 건 어쩔 수 없는 듯.
2.문화와 정체성
타자가 나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가 정체성과 연관이 있다. 정체성은 근대 사회에 들어서면서 큰 변화를 겪게 된다. 전통사회에서 개인의 정체성은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었다. 느리게 진행되는 사회 특성과 단순한 형태가 일반화. 근대 이후 친밀한 공동체의 붕괴로 정체성의 안정성에 붕괴가 오며 큰 타격을 입음.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시에 거주한다. 도시 사람들은 익명적 공간이다. 대개가 아파트란 고립된 공간에 살고 있으며 정체를 모르고 살기 일쑤. 다른 사람과 나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내가 누구인지 아는 것이 정체성인데 현대는 제한적으로 보여지며 흔들리기 시작함. 현대인의 큰 불안감 중의 하나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것.
사람들은 확고한 안정성을 찾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게 되는 데 대표적인 노력이 문화적인 것이다.
멋을 내거나, 자신을 표현하는 각 행위 등. 상대에게 자신을 전달하고픈 욕구와 확인받고자 하는 욕구 증가.
문화적 수단은 자발적으로 이용하는 것 같지만 결국은 타인에게 조종당하는 것이 많다.
기성복을 입는 것, 유행에 따라가는 것, 전문가의 조언을 듣는 등 결국 자의가 아닌 흐름에 기인한 타의에 의한 것. 현대 사회는 제품을 팔기 위한 라이프 스타일 광고가 대부분인 형태이기에 정체성은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띰.
정체성의 혼돈을 가장 많이 겪는 집단이 여성, 인종 특히 흑인, 청소년 집단이다. 여성은 정체성과 관련하여 피해를 많이 보는 집단이다-스테레오 타입(특정한 전형적 이미지에 고정되는 것)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부가되어 있기에. 자신들의 부정적인 스테레오 타입을 긍정적인 타입으로 전환시키려는 노력을 많이 펼치게 된다. 이를 정체성 정치.(새로운 정체성을 알리려고 노력하는 행위)
대표적으로 유리 천장: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사회적 장벽이 존재하는데 여성들이 평소에는 별로 차별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막상 고위직에 오르려고 할 때면 미묘한 차별이 존재하며 진출을 억제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요즘은 오히려 남성들이 역차별 당하는 것에 대한 부당함과 맞서며 남녀 대결 구도의 이상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도 사실.
청소년 집단은 정체성이 결핍된 집단=점이기(아이도 아닌 어른도 아닌) 청소년 문화가 각광받게 된 이유는 청소년의 정체성 결핍을 문화적 수단을 통해서 메우려는 노력이 결합되어 있다.
'colcol media > 미디어영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를 감상하는 태도와 의례에 관하여 (0) | 2021.10.12 |
---|---|
네트워크 종류와 기술의 발달 (0) | 2021.10.09 |
방송의 편성 규제에 관하여 (0) | 2021.10.08 |
포스트 식민주의와 오리엔탈리즘 (0) | 2021.10.06 |
뉴미디어에 관한 총정리 (0) | 2021.10.04 |
백선기의 대중문화론 리뷰 (0) | 2021.10.02 |
조직 커뮤니케이션에 관하여 (0) | 2021.10.01 |
사진의 이론 (0) | 2021.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