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혜경, 대중문화의 기만 혹은 해방, 김영사,2009
대중문화는 우리의 고단하고 지루한 삶을 달래는 위안과 희망의 원동력이 되어준다… 대중은 대중문화의 창조적 주체로서 거듭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비록 한순간일지라도 억압과 순종에 길들여진 기존의 삶의 방식으로부터 해방을 꾀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대중문화는 현실에 대한 진지한 관심을 외면하게 만들고 우리의 반성적 사고 능력을 마비시키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25.
대중문화에 대한 상반된 입장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문젯거리를 던져준다. 26.
아도르노와 벤야민은 프라크푸르트학파 또는 비판이론의 사상가이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이론가들이 스스로를 비판이론이라고 지칭했던 것은 이렇듯 칸트와 마르크스의 철학 전통에 입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3.
비판이론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과 노동자 계급의 해방을 목표로 하는 마르크스주의의 전통을 게승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인 지점에서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와 갈라서게 된다.
비판이론은 20세기라는 역사적으로 변화된 조건하에서 현 시기의 역사 과정에 대한 이론을 수립함으로써 마르크스주의를 시대에 맞게 재규정하려고 했다. 34.
아도르노와 벤야민은 이전의 다른 어떤 이론가들보다도 현대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대중문화와이데올로기가 수행하는 의미와 역할을 중요하게 이해하고 이에 대한 철저한 비판과 평가를 수행한 이론가. 40.
비판이란 자신의 역사적 삶을 스스로 생산하고 창조하는 인간 존재의 활동으로서 사회 자체를 대상으로 삼는 것이다. 43.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는 오늘날 대중매체에 의해 생산되고 유포되는 대중문화와 대중예술이 인간의 정신 속에 동일성 원리를 실현시키는 수단이라고 생각했다… 아도르노와 호르크 하이머는 후기 자본주의 시대의 대중문화를 지칭하기 위해, 대중문화(popular culture)라는 말 대신에 문화 산업 (culture industry)라는 새로운 용어를 고안해냈다. 왜냐하면 대중문화라는 표현을 쓸 경우 대중 스스로에 의해 자발적으로 생겨난 문화 라거나 대중의 꿈과 희망을 대변하는 문화라는 긍정적인 뉘앙스를 가질 수 있음을 염려했기 때문이다. 88.
보통 대중문화라는 말은 muss culture와 popular culture라는 두 표현을 번역한 것이다. 매스 컬쳐는 대중문화의 본질을 산업화된 대량 생산 체제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
포퓰러 컬쳐는 대중문화의 본질이 민중의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한다.
오늘날 대중문화의 수요는 단순히 대중에게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대중문화를 만드는 거대한 독점 기업의 손에서 만들어지기도 한다. 102.
'Humanities(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맛보기]예술인간의 탄생 (0) | 2020.05.07 |
---|---|
[책맛보기]음악, 말보다 더 유창한 (0) | 2020.05.03 |
[책맛보기]사르트르의 미학 (0) | 2020.05.03 |
[책맛보기]음악본능 (0) | 2020.05.02 |
[책맛보기]20세기 문화지형도 (0) | 2020.05.01 |
[책맛보기]계몽의 변증법 (0) | 2020.05.01 |
[책맛보기]한국대중음악사 산책 (0) | 2020.04.30 |
[책맛보기]엔터테인먼트 산업혁명 (0) | 2020.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