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umanities(인문학)

[책맛보기]아트놀로지시대, 정보통신과 음악산업의 만남

by roo9 2020. 5. 13.

김일중, 류석윤 공저, 아트놀로지시대, 정보통신과 음악산업의 만남, bookstar,2016,

 

산업이란 인간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상적으로 종사하는 활동을 의미하며 각각의 산업마다 고유한 특징이 존재한다. 음악 산업의 특징을 보면 음악산업은 일반적인 제조업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보이지 않는 무형의 경험 경제인 예술산업은 주관적인 가치 창출이 바탕이 되기 때문에 콘텐츠의 원가나 미래의 가치가 얼마나 커질지 예측하기 힘들다는 특징이 있다. 59.

 

두 번째로 음악산업의 서비스 경쟁은 스마트 기기, 그리고 정보통신 기술의 진화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세 번째로 음악산업은 국내 대중음악의 국외 보급 및 전파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문화를 국욍에 전파시킬 수 있다. 

 

음악산업이란 콘텐츠를 기반으로 매출이 발생하는 시장이다. 62.

 

 

음악산업의 첫 번째 분류는 음악 제작업이다. 음악 제작업은 음악을 기획하고 창조하는 업무들을 의미한다. 음반 및 음원을 제작하고 관련 비지니스를 진행하는 업체들이 수행하는 업무. Sm, yg, fnc, jyp 등이 대표적 사업체이다. 

 

음반녹음시설운영업체는 음반와 음원을 제작하기 위하여 녹음 시설을 음반 기획사에게 제공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업체로 국내는 real sound, suono, this is records, 창조공작소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음반 녹음 시설운연업체는 작곡가, 편곡가, 사운드디자이너, 사운드엔지니어 등의 음악 제작에 필요한 전문가들이 제작을 지원한다. 뮤직비디오 촬영 대여 업체도 포함된다.

 

음악산업의 두 번째 부류는 음반 및 오디오물 출판업이다.

악보나 교재 등을 제작하는 업체로 음악 관련 서적을 출판하는 산업을 지칭.

 

세번째 분류는 음반 복제 및 배급업이다.

음악 제작업을 담당하는 프로듀서 업자게 실제로 음반 소비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도매업체 혹은 소매업체로 전달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네 번째 부류는 음반도소매업이다. 음반을 도매하는 사업체와 음반을 소매하는 사업체로 구성이 된다.

 

다섯번째 부류는 온라인, 모바일 음악 유통업이다. 유통업체는 음원의 소유자로부터 음원을 양도받아 온라인 및 모바일 상에서 중개를 담당하는 사업체들로 구성된다. 멜론, 올레뮤직, 벅스 등…

 

 

여섯번째 분류는 음악공연업이다. 제작된 음악 콘텐츠를 공연으로 이어갈 수 있게 하는 모든 관련 산업 활동을 의미한다. 음악회, 대중음악 콘서트, 뮤지컬, 락페스티발 등 다양한 형태의 공연업이 창출된다.

 

마지막으로 노래연습장 운영업이다. 흔히 노래방 사업이다.

 

 

 

 

창작물을 제작한 사람은 저작권 보호의 권리가 발생한다.

 

음악 제작자들의 음원을 보호할 수 잇는 권리로 저작권, 실연권, 음원권이 존재한다.

 

저작권(copyright)은 지적 재산권의 하나로 저작자가 그 자신이 창작한 저작물에 대해서 갖는 권리로 음악산업에서의 저작권은 작곡가, 작사가, 그리고 편곡가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실연권은 실연자에게 저작물 보호에 대한 권리를 도모하기 위한 규정이다. 실연자란 보통 가수나 연주자를 지칭한다.

마이클 잭슨도 실연자다.

 

음원권은 디지털 음원 대리 중개와 음원 유통에 대한 법적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한국음원제작자협회에서 대표성을 띄고 있지만 음원 대리 중개업체와 디지털 음원 유통사에서도 음원권에 대한 권리를 관리하고 있다. 75.

 

 

디지털1세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음원으로의 시대변화

 

1990년대 전통적인 음악산업은 lp, cd, tape, dvd audio 등 음반의 형태가 주축을 이루었다. 아날로그 매체들이 음악산업을 대표하였다. 

 

2000년대초는 mp3등장과 함께 디지털 음원을 중심으로 하는 서비스 패러다임을 맞이한다. 이를 디지털 1세대라고 한다. 82.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에서 대여(rent)로의 시대 변화

 

디지털 1세대는 소리바다, 냅스터,등의 p2p음악 파일 공유 서비스로 인하여 불법 음악 콘텐츠 사용이 비일비재하였다. 이러한 사이트는 초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였다.

디지털 1세대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pc로 디지털 음원을 다운받은 후 자신의 휴대용 mp3 플레이어에 다시 저장하여 음악을 감상하였다. 85.

이러한 이용 패턴은 mp3의 소유가 주를 이루는 시대였다.

디지털2세대

디지털 2세대에 i폰 3 출시후 많은 경쟁사가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운영 체제가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를 만들어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기기를 통틀어 스마트 기기라고 한다. 스마트 기기의 등장은 음악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냈고 음악 이용 패턴을 바꾸어 놓았다. 스마트 폰을 이용한 음악 청취는 이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하지만 제한적인 용량 할당으로 다시 대용량 하드디스크에 음악 등을 저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사업자들은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다운로드 대신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발한다.

 

스트리밍이란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을 물리적 저장공간 없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 일정 요금을 내고 실시간으로 청취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클라우드란 음악 감상 사이트의 서버를 의미하고 스마트폰 소비자들은 자신이 현재 가지고 있지 않은 mp3파일을 소장하고 있는 것처럼 가상화하여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시대 변화는 음악산업뿐 아니라 타 산업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4g/lte 네트워크 기술의 보편화되는 디지털 3세대 음악 구조의 동향으로 …

 

 

디지털 3세대의 음악산업 특징은 음악 동영상 플랫폼의 사용이 보편화 되었다는 것,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한 서비스 혁신, 

 

 

 

2019년 4월 4일 5g 시대가 개막되었다.

Lte보다 1000배 빠른 네트워크 기술시대. 5g 시대에는 홀로그램 콘텐츠가 각광받으며 폭넓게 유통될 것이라고 한다.공간 왜곡도 발생하지 않아 현실감을 더욱 증대시킬 전망.

 

 

언제 어디서나 보고 듣는 음악 시대

 

정보통신 기술의 진화로 음악산업은 듣는 시대에서 보고 듣는 시대로 패러다임이 바꼈다.

 

개별적인 음악 콘텐츠를 소비하고 지상파의 본방사수는 다시보기에서 몰아보기로 바뀌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