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 십이운성의 모든 것
사주 명리학 십이운성의 특징에 관하여 절(겁살) 정자 형성기, 배란기, 야심과 욕심, 가장 허약하고 무기력함. 심신이 불안하며 경제적 불안, 변화를 즐기고 새로운 것을 즐기는 변덕이 심하다. 형태가 절멸된 무의 상태에서 생을 만난다고 해서 절처봉생으로 반드시 새로운 기운이 동하는 절과 생은 동시에 이루어진다. 극도로 쇠약하고 수동적으로 인정에 약하고, 외부변화에 쉽게 흔들리고, 소심. 걱정, 불안정, 변동, 단절로 인한 실패를 상징한다. 일지 월지 절은 천성이 단순, 담백, 순수하며 모든 것에 관심과 호기심이 많다. 비판적이기보다는 즉흥적, 상대를 좋아한다. 겉은 단순하지만 내면은 자기 위주로 냉혹하다. 시지에 절은 후사가 끊어지거나 자식 인연이 박하다. 스스로 고독도 즐긴다. 타인을 고독하게 만들기도 ..
2021. 2. 16.
[십성론]정관의 모든 것
정관은 관리한다는 뜻으로 가정이나 단체, 국가, 인류사회의 질서로 도덕과 법이 된다. 남자에게는 자식과 명예, 직장이 되고, 여자에게는 남편이나 직장이 된다. 사회적으로는 질서, 책임, 제도, 법, 권위, 명예, 정치를 의미하며, 관공서, 국가기관, 관료, 직장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사주 명리학 정관의 모든 것 정관은 질서와 예의를 존중하고 명예를 소중히 여기며 준법 생활을 하고 형제간에 우애하고 효도가는 등 모범적인 상으로 고서에는 쓰여있지만 실제로는 꽁생원처럼 보수적이고 꼬장꼬장한 이가 다분하다. 남자의 경우 직장운이 좋은 것보다 성향의 고지식함에 무게를 두는 게 좋고 직장보다는 안정적이고 고정적인 수입을 받는 일을 한다고 보는 것이 맞다. 여자의 경우는 남편보다 직장운에 더 가깝다. 특히 여자..
2021. 1. 27.
[십성론]편관의 모든 것
편관 편관은 칠살이라고 해서 흉한 기운을 의미하는데, 천간 지지 모두가 일곱 번째와 상극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인성이 만물을 생하게 하는 작용이면 편관은 만물을 죽이는, 즉, 제거반으로 보면 된다. 천재지변, 종교적으로는 영혼, 귀신 담당. 편관은 어둠의 세계에서 일하는 기운이 강하지만 한편으로는 용감하고 강직해서 개혁과 의협심을 갖춘 무관 혹은 군왕처럼 권위를 상징한다. 편관은 남자에게는 자식이나 후계자이고 여자에게는 남편이나 남자친구 혹은 애인이 된다. 사회적으로는 군인, 경찰, 법관, 검사, 형사, 국회의원, 감사원, 세관원, 깡패, 강도, 협객, 무법자, 질병, 시체 등이며 무기나 흉기, 위험물, 폭발물 등 흉하고 강한 것은 다 상징할 정도이다. 폭염이나 혹한, 폭풍, 태풍, 홍수 등 천재지변도..
2021. 1. 27.
사주공부 정재의 특성
정재는 구성지능, 계획지능, 수학지능, 맞춤지능을 의미한다. 정재는 설계와 기획에 탁월하다. 목적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에 희열을 느낀다. 실리적이고 논리적이며 정교하고 세밀하다. 정재는 남자에게는 본처이며 월급, 장사의 이윤 등을 말하며 성실한 노력과 근검절약, 신용과 책임을 바탕으로 한 정당한 소득, 고정 자산을 의미한다. 직장인, 금융인, 사업가 등에 해당한다. 정직과 신용을 중시하는 정재 정재는 성실과 안정 그리고 신용으로 약속을 중요시 한다. 섬세하고 빈틈없지만 고지식하고 재미가 없는 편이다. 공사가 분명하고 규칙을 잘 준수하여 옛날에는 좋게 봤지만 현대는 스케일이 작고, 인색하거나 고지식한 올드한 성향으로 꼭 좋다고 보기 어렵다. 남자에게 월급, 장사의 이윤 등을 말하며 성실한 노력과 근검절약 ..
2021.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