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umanities(인문학)

문화콘텐츠산업론 추천

by roo9 2021. 9. 26.

문화콘텐츠산업론

 

                        대중문화에 관한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아주 잘 정리한 책임. 전공자 및 관심있는 분들에게 추천하는 책

문화산업에 관련하여 미국은 entertainment industry, 영국은 creative industry, 일본은 contents dindustry라고 표현하고 있다. 문화산업 중에서도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상품을 제작, 생산, 유통, 소비하는 과정을 문화콘텐츠산업이라고 말한다. 연극 , 공연, 영화등 전통적인 문화예술과 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산업을 포괄한 개념이 문화산업이라면 이 중 콘텐츠가 부각되는 분야를 문화콘텐츠산업이라고 한다.

 

 

1975년생들의 이야기

문화산업의 트렌드 변화와 전망

 

콘텐츠의 융.복합현상, it 기술과의 접목, b급 문화의 부상, 문화예술의 욕구가 강한 중.장년층 부상(1974~1955년생)

중.장년층은 인구 비중은 33%로 가장 높다.

 

 

음악산업이란 음악의 창작, 음반의 제작, 활용, 유통, 보급, 수출입 등에 관련된 영업 및 대중음악 공연을 지칭하며, 이에 따라 음반, 공연, 출판, 매니지먼트, 영상물 활용 등 아티스트와 음원을 사용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산업을 일컫는다. 213.

 

 

음악서비스   특징

Sp-1분에 78회전, 약 2곡 수록

Ep-1분에 45회전, 약4곡 수록, 싱글음반 판매, 재질 향상됨

Lp-1분에 33회전, 약 1시간 재생가능, 널리 보급됨

Cassette tape(1962)-휴대성과 내구성이 높음, 손쉬운 레코딩 가능(데모음반 제작),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의 보급으로 음악을 즐기는 장소, 시간적 제약에서 벗어남(소니의 워크맨, 삼성의 마이마이등)

Cd(1979)-최대기록시간 74분 42초, 약 12센티, 반영구적 저장매체, 디지털 신호의 녹음 및 재생으로 잡음이 거의없음,

Mp3(1988)-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압축하여 기록한 파일, 저장매체의 한계를 벗어나며 음악유통의 혁명을 가져옴

Flac, alac- 파일의 손상 없이 압축한 음원파일(약 50% 압축), 음악 저장 및 플레이어가 고용량으로 발전하며 고음질 음원파일의 인기가 높아짐,

Streaming(1995)-데이터의 저장 및 유통기술이 발전하며, 음악데이터를 다운로드, 저장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재생함, 저장매체의 용량에 상관없음, 인터넷방송의 발전을 유도함,

 

win.ter entertaimnetn

 

디지털 음악산업은 이동통신사의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 등의 확대로 이어졌고, 이동통신사의 시장 점유율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 배분 구조는 이동통신회사가 약 30% 이상을 유통수익으로 갖고 음악 기획, 제작사는 약 25%에 못 미치는 수익을 갖는 구조가 형성되어 기획, 제작사와 저작권자들의 항의가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 음악의 서비스에 있어서 에이전트 역할의 cp(contents provider)가 중개수수료 약 20%를 갖는 새로운 유통업자로 등장하는 바람에 음악계에서는 수익률의 상승을 요구하며 cp사를 직접 운영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217.

 

 

 

음악산업의 생산시스템은 기획사와 제작사가 음반(앨범)을 기획, 생산, 제작, 생산하는 제작의 이원성을 띠고 있다. 기획사는 가수발굴, 트레이닝, 음반기획, 녹음, 매니지먼트를 진행하고 제작사는 음반 투자, 제작, 유통을 맡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디지털 음악산업이 커지면서 통신회사의 참여로 인하여 규모가 확대되고 있으며, 제작사에서 기획, 매니지먼트를 직접 진행하기도 하고 이동통신사가 제작사, 유통사를 인수하거나 합병하여 직접 콘텐츠의 제작과 매니지먼트에 참여하기도 한다. 217.

일반적인 음악의 제작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기획사가 음반을 기획하고 작곡가에게 음악을 의뢰한다-기획사 및 제작사가 소속 가수 또는 음반 제작에 필요한 가수를 찾아 녹음한다.-기획사 및 제작사가 음반 디자인, 뮤직비디오를 제작하고 제작사와 계약하여 음반을 제작한다.-기획사 및 제작사가 홍보담당자, 매니저를 통하여 방송국과 언론사에 음악과 뮤직비디오가 소개, 방송되도록 홍보한다.-제작사가 배급업자, 즉 인터넷유통업체 또는 도매상에게 음반을 납품하고 도매상은 다시 소매상에 물건을 공급한다.-기획사가 가수의 방송출연, 행사출연, 광고 출연 등의 매니지먼트를 대행한다-기획사와 제작사는 계약대로 매출을 분배한다-가수와 작곡, 작사가는 협회 또는 기획사에서 저작료를 분배받는다. 218.

 

 

kpop star

미국은 세계 음악 시장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 음반산업에서 중요한 점은 음악소비자의 층이 10대, 20대, 30대, 40대 이상 등 연령층별로 다양하고 두텁다는 것이다. 229.

미국 음악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분야는 공연 음악이다. 다양한 음악페스티벌, 이벤트, 프로모션 등이 증가하고 있다. 229.

 

드라마 질투

1993년 tv 드라마 질투의 수출이 시작된 후 1997년 사랑이 뭐길래의 인기와 더불어 1998년 hot, 클론 등이 중국, 대만 등에 진출하여 한국 대중음악의 중화권 진출이 시작되었다.이후 한류 열풍과 함께 2002년 sm 엔터테인먼트의 보아가 일본에서 AVEX를 통해 데뷔하여 큰 성공을 거두면서 해외 진출을 목표로 삼기 시작했다. 이후 동방신기, 소녀시대, 빅뱅, 카라 등이 일본에서 성공적인 활동을 하게 되었고, 보아와 원더걸스 등은 미국진출까지 시도했다. 

 

 

보아 데뷔초

 

케이팝의 매력은 미구식 팝음악을 듣기 쉬운 댄스 팝으로 재해석하고 아시아적 특징인 발랄함과 귀여움을 가미했다는 데 있다. 세계 음악 시장의 주류인 영미권에서 유행하는 음악과 안무를 빠르게 흡수하고 동양적으로 세련되게 소화해 어느 지역에서나 거부감 없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케이팝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으로, 10대에 특화된 하위문화란ㄴ 점과 가창력보다는 선정적인 퍼포먼스와 10대 감수성에 호소하는 점도 한계다. 237.

 

 

로열티는 사용료, 저작권 등의 지적 재산권을 타인이 사용하는 대가를 의미하며, 대부분의 경우 사용에 대해 발생하는 수익의 일정 비율이라는 형태로 결정된다. 보통 출하된 음반 중 약 15%는 무상으로 배포되는 것으로 간주하여 이를 공제한 실제의 판매 수량으로 계산하며, 파손 등을 고려하여 판매량의 90%를 기준으로 로열티를 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42.

 

 

영웅본색

 

1960년대를 지나며 텔레비전의 보급과 티브이 프로그램의 제작이 늘어났다. 이후 1980년대 세계적인 음반산업의 전성기를 거치며 대중문화의 부흥기를 경험했다. 이러한 과정을 겪으며 아시아에서는 홍콩영화가 크게 유행하며 항류의 현상이 발생했다. 하지만 비슷한 스토리와 스타의 중복 출연이 대중의 관심을 잃기 시작했고 일본의 트렌디 드라마가 젊은 여성 타겟으로 크게 흥행했다.

 

1996, 사랑이 뭐길래

1992년 한국은 적대국이던 중국, 베트남 등과 수교를 맺으며 정치. 경제. 문화적 교류가 시작되었다. 이를 계기로 1993년에 티브이 드라마 질투가 최초로 중국에 수출되었고 1996년에는 사랑이 뭐길래가 큰 인기를 얻었다. 1998년에는 중국 문화부의 정식 승인을 받아 hot, 클론의 음반이 출시되고 큰 인기를 얻으며 한류의 현상이 발생했다. 이후 2005년경 아시아에서 소비가 왕성한 일본에서 대만의 티브이 드라마 유성화원이 크게 히트하고 중화권의 문화 소비가 급증했다.

 

 

 

1990년대 하반기부터 2000년대 후반에 접어들며 한류가 시들어지며 새로운 노력으로 해외 진출을 모색하였는데 이를 제2의 한류라고 표현한다. 처음의 대중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발생한 것이 시간이 지나며 패션, 음식, 게임, 문학 등 다양한 문화 소비로 범위가 확산되고 있다. 이처럼 확대된 한류의 현상을 신한류라고 한다.  한류 콘텐츠는 단순히 완성품에 그치지 않고 방송프로그램 포맷 수출, 전문 인력의 해외진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웹툰, 웹드라마 등의 유통 등으로 확산 중이다. 특히 약 3분 정도의 짧고 소비성이 강한 콘텐츠인 대중음악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하여 급속히 확산되었다.351.

 

                       <김평수, 윤홍근,장규수,문화콘텐츠 산업론, 커뮤니케이션스북스,개정2판 2016,pp.21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