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는 소수림왕 때 수도에 귀족 자제들 교육시키는 태학을 두었다. 장수왕 평양천도 이후에 세워졌다는 설이 유력하다. 지방곳곳에 경당이란 학당을 만들어 한학 뿐 아니라 무술 등의 교육도 시켰다고 한다.
삼국의 교육 기관
백제는 교육기관이 기록에 남아있지는 않다. 하지만 더 세련된 박사 제도가 있었다. 박사는 중국의 제도를 본따 만든 5경박사, 의박사, 역박사 등, 5경 박사는 유교 경전 5경을 의미한다. 시경, 서경, 역경, 예기, 춘추. 이런 박사가 귀족 자제들에게 가르쳤다. 백제의 박사제도는 일본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백제가 한문학 수준이 제일 높았던 듯 보인다. 백제 귀족들은 한학을 상당히 수준있게 공부하였다. 개로왕의 국서를 봐도 한문학 구사 수준이 장난이 아니다 .사택지적비는 7세기 의자왕때 상좌평을 지낸 인물이다. 나이 들어 자신의 집에 불당을 건립한 내력을 쓴게 사택지적비다. 이걸 통해 인생의 허무함을 얘기한 부분이 있어 현재는 논란이 되고 있지만 도교의 영향을 받은 듯하다. 즉 도교 노장사상을 받았음을 짐작하는 것이 사택지적비다.
신라의 임신서기석 그리고 국학
신라는 임신서기석이 대표적이다. 현재 남아있는 것은 612년. 임신년에 두 명의 청소년이 3년 기한으로 맹세한 비석이 바로 임신서기석이다. 통일신라 신문왕 2년에 국학을 설치하였고. 경덕왕 때 이걸 태학감으로 개칭하고 박사감과 조교를 두어 가르쳤다. 원성왕 때 국학을 졸업한 사람들에게 독서한 정도로 나눠 상중하품으로 나눠 관직에 등용하자는 게 독서삼품과 혹은 독서출신과를 의미한다. 이는 골품의 벽을 넘지 못해서 잘 안 되었다. 신문왕과 경덕왕 사이 성덕왕 때 김수충이란 사람이 나와 공자와 공자 제자 화상을 들여와 국학에 안치, 국학을 유교 교육기관으로서 위상을 높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밖에 발해는 최고 교육기관이 주자감이다. 당의 빈궁과에 합격자 다수 배출하였다. 신라 귀족들과 수석을 다툴 정도였다.
통일신라의 대표적인 천재 유학자
김대문, 강수, 설총은 신라 중대 대표적인 유학자다. 김대문은 진골 출신 귀족으로 한산수 총관을 지냈다. 화랑세기, 한산기, 고승전 계림답전 등의 저술을 남겼으나 현재는 남아있진 않다. 후대 최치원등의 평가에 따르면 김대문이 신라 문화를 상당히 주체적으로 인식했다고 한다.
6두품 출신의 강수는 외교문서에 능했다. 문무왕 때 활동하였다, 삼국통일 전쟁, 나당전쟁 벌어졌을 때, 설인기 장군에게 답하는 글 및 당에 잡혀있는 김인문 돌려주기 요청하는 글이 청방인문서이다. 신라 최초의 유학자이며 설총, 최치원과 더불어 3대 문장가로 꼽힌다.
이두를 집대성한 신라의 대표적인 학자 설총도 6두품 출신이다. 화왕계 저술(유교적 합리주의), 신문왕이 심심했던지 당대 이야기꾼인 설총을 불렀다. 그랬더니 설총이 즉석에서 교화될 만한 이야기를 해줬다. 그 얘기는 세가지 꽃이 있다. 모란꽃, 장미꽃, 할미꽃 얘기로 모란꽃은 임금, 장미꽃은 간신, 할미꽃은 충신 상징한다. 세 꽃의 비화를 들어 임금이 올바른 방향으로 갈 것을 건의한 내용이다.
최치원은 신라 하대 6두품 출신의 3최(최승우, 최치원, 최언위) 그중에서 원조는 최치원이다. 12살에 당나라로 유학을 떠났다. 18살에 빈궁과 합격, 당나라 관직 중 당나라는 황소의 난, 종사관으로 참전했다. 이때 토항서견문이란 유명한 책을 지었고 일설에는 황소가 이걸 읽다 피를 토하고 죽었다는 기도 안 차는 얘기가 나돌았다. 최치원은 나이 스물에 당나라 정리하고 신라로 돌아갔다. 진성에게 개혁안 10여조 올렸는데 반영이 안 되었다. 그뒤 신선이 되었다고 한다. 최치원의 흔적은 곳곳에 많다. 최치원이 지었다고 알려진 역사서로 제왕연대력. 계원필경, 4산비명 등이 있다.
'Humanities(인문학) > 모든것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시대 관리등용제도 보기 (0) | 2021.08.21 |
---|---|
한국사 고려의 모든 것 (0) | 2021.08.20 |
고려의 왕 리스트와 태조 왕건의 업적 (0) | 2021.08.19 |
한국 중세사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과정 (0) | 2021.08.17 |
한국사 고대의 종교 문화 불교에 관하여 (0) | 2021.08.16 |
한국 고대 사회 특징 및 경제 전반 이야기 (0) | 2021.08.14 |
한국사 통일 신라 이후 시대상과 체제 (0) | 2021.08.12 |
한국사 신라의 발전과 주변국 상황 (0) | 2021.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