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잡학다식/사주 연구소447

내 인생의 행운같은 방향운을 알고 싶다면 반안살을 꼭 기억하세요 사주학에서 반안살은 안장살이라고도 합니다. 반안은 말 위에 타고 있는 사람을 의미하고 궁중인에 비유하면 내시 혹은 집사와 같은 역할입니다. 이러한 반안살 방향에 금고를 놓거나 잠을 자면 가장 좋다고 합니다.  반안살에 관하여 현대식으로는 대통령의 수석 비서 혹은 기업 대표의 최측근 실장 같은 지위로 신분 보장과 함께 막강한 권위를 누릴 수 있는 자리를 의미합니다. 그렇기에 사주에 반안살이 있으면 여로모로 든든하겠죠. 이러한 반안살은 길신에 해당하며 특히 윗사람의 든든한 조력을 받으며 실리를 취할 수 있지만 이것이 과하면 허세를 부릴 수 있으니 그 점이 흠이라고 보기도 합니다. 뭔가 과신했다가는 말에서 떨어질 수 있으니 잘 풀릴 때 더욱 조심하라는 것이겠죠. 또한, 말안장이 너무 사치스러우면 좀 그렇잖아요.. 2022. 12. 6.
사주공부 천간 10대장 특징 요약 사주에서 천간이란 하늘에 흐르는 오행의 기운을 의미합니다. 물론 천간끼리도 음양 오행은 구분은 되지만 전반적으로 양의 기운에 속합니다. 지지도 마찬가지입니다. 천간이 하늘의 기운이면 지지는 땅에서 사계절이 순행하는 순서로 형체와 형질이 있으며 음의 기운에 속합니다. 천간의 종류별 특징 10개로 구성된 천간 10대장은 사주를 모르는 분들도 아! 하고 고개를 끄덕일정도로 익숙할 겁니다.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열 글자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관심이 없는 분들은 그냥 글자에 불과하지 이것들이 오행을 관장한다는 생각은 하지 못할 겁니다. 그런 차원에서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쉽게 아주 간단하게 이들의 특성을 나열해 보겠습니다. 갑을에 관하여 천간 중 갑과 을은 목의 기운에 속합니다. 갑과 을이 그야말로 대장과 부하 역.. 2022. 12. 3.
주역에서 화천 대유의 뜻에 관하여 주역에서 화천 대유는 건괘와 이괘가 합쳐진 것인데요. 단적으로 크게 보전한다는 의미입니다. 해가 중천이란 말이 있죠. 한낮의 태양은 세상 찬란한 빛을 내뿜습니다. 이러한 태양처럼 만물이 왕성하게 성장할 때는 모든 것이 뜻대로 이루어진다는 의미입니다. 즉, 각자가 자기에게 알맞은 때와 장소를 얻어 최선을 보전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보다 구체적인 해석을 보겠습니다. 건괘와 이괘가 합쳐진 화천 대유 사주에서도 남자는 건명 여자는 곤명이라고 하는 그 건을 의미합니다. 그 건이 뭐냐면 하늘의 이치를 의미합니다. 남자는 하늘 여자는 땅으로 보는 것이죠. 이처럼 주역에서 건괘는 작대기 셋 그러니까 삼효 모두 양으로 하늘과 태양이 만물을 주관하는 모습을 상징합니다. 이괘는 해가 가장 높이 뜬 모습을 의미하는데 햇빛이.. 2022. 12. 2.
사주공부 오행 중 목의 특성에 관하여 목화토금수 오행별 특성에 대해 알아봅시다. 사주에 대해서 잘 몰라도 오행별 특성만 잘 알아도 비교적 인간 특성에 관해서 잘 알 수 있다는 사실. 어디가서 오행별 부족하거나 많은 걸로도 절반 이상은 그 사람의 성향에 대해서 알 수 있으니 잘 읽고 참고하시길. 목화토금수 오행별 특징 목에 관하여 목은 말 그대로 나무의 기질로 봅니다. 물상으로는 나무에 속하지만 꼭 나무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닙니다. 목은 기본적으로 생명과 연관이 깊습니다. 그래서 탄생과 성장을 관장합니다. 숫자로는 3과 8에 속합니다. 사주에서 목이 부족하거나 필요하다고 하면 이에 해당하는 숫자를 사용하려고 애써도 좋을 것 같습니다. 동쪽을 지칭하면서 교육과 문화, 공부와 연관이 깊습니다. 보통 목 기운은 어질고 인자함을 중시합니다. 계절은 .. 2022. 11. 28.
사주에서 지지란? 사주 명리학에서 지지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를 의미합니다. 천간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가 양의 기운을 총괄한다면 지지 기운은 음의 기운을 전담합니다. 물론 천간에서와 마찬가지로 음양의 구분은 있습니다. 지지는 12가지 기운과 물상으로 보통 우리가 아는 띠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자는 쥐 축은 소 이런 식으로 호랑이 토끼띠 등 동물 형상으로 특성을 규정하기도 합니다. 지지의 특징 지지는 표면적으로는 한 개이지만 안에는 두 세개의 기운이 같이 들어있습니다. 이를 지장간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겉은 양의 수 기운이라고 하지만 속으로는 다른 기운이 있을지 모르는 거죠. 우리가 하늘을 보면 날이 흐리고 맑은 것을 볼 수 있지만 땅의 기운은 쉽사리 예측하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 겉 표면은 촉촉하지만 속은 건조할 수도 .. 2022. 11. 21.
목화토금수 오행 많은 사주 특징 중화를 중시하는 사주 명리학에서 오행이 편중 태과되었다는 것은 바람직한 징조로 보진 않습니다. 목화토금수 별 오행이 편중 태과된 사주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오행 많은 사주 특징 목이 많은 사주 사주 오행에서 목이 많다고 하면 마치 무성한 숲이 연상될 정도인데요. 동쪽 봄의 기운이 강한 목은 항상 수직으로 향하는 기운이 넘칩니다. 가뜩이나 생동감이 넘치는데 사주에 목이 너무 많다면 항상 목이 마르고 만족을 하지 못할 겁니다. 목은 살아있는 생명과도 같아 움직이고 활발한 기운이 남다릅니다. 그래서 끊임없이 움직이고 분주하고 활력이 넘칩니다. 화가 많은 사주 여름의 기운은 덥고 상승 기운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목이 어딘가에 뿌리를 내리면서 확장하는 기운이 넘친다면 화는 무형의 발산하는 기질이 강하다고 .. 2022. 11. 20.
목화토금수 오행부족 성향 특징 보기 목화토금수를 오행이라고 하는데 사주팔자는 이러한 오행의 구성으로 이루어집니다. 보통 중화가 되면 좋다고 하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사주에서 유독 없거나 부족한 오행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이 있긴 합니다. 목화토금수 중 부족한 오행이 있는 사람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사주에서 음양오행의 중요성 취미로 혹은 자기 성찰 목적으로 혹은 직업으로 사주 명리학을 공부하는 사람이 많이 늘고 있습니다. 요즘 MBTI가 붐이긴 하지만 알고 보면 동서양 철학이 합쳐진, 거기다 양자물리학과도 연관 있어 보이는 사주학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블로거입니다. 혈액형부터 애니어그램 MBTI , 별자리, 타로부터 심리학 다 관심 있게 공부하지만 사주학처럼 재밌는 학문이 없는 것 같습니다. 사주는 남을 봐주기 위한 학문이 아.. 2022. 11. 19.
사주공부 방합과 암합에 관하여 사주 명리학에서 지지가 삼합되는 것은 3개의 지지가 합하여 강한 기운을 발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슷한 기운이 모여 보다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것으로 천간 합보다 광범위하고 강력한 작용을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중에서도 방합과 암합을 살펴보겠습니다. 사주 공부 방합이란? 방합은 방위를 중심으로 합해진 기운을 의미합니다. 사계절의 기운이 함께 작용하는 것으로 인묘진은 동쪽 사오미는 남쪽 신유술은 서쪽 해자축은 북쪽의 4개의 방국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방합은 합을 구성하는 3자 중 반드히 한 글자가 월지에 자리하고 있어야 방합이 성립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월지가 아닌 연지, 일지, 시지에 방합이 되는 3자는 방합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삼합과 방합의 차이는 삼합은 범위가 광범위하고 방합은 깊이가.. 2022. 1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