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umanities(인문학)/모든것의 역사72

한국사 고대 삼국의 교육 기관과 대표적인 유학파 천재들 고구려는 소수림왕 때 수도에 귀족 자제들 교육시키는 태학을 두었다. 장수왕 평양천도 이후에 세워졌다는 설이 유력하다. 지방곳곳에 경당이란 학당을 만들어 한학 뿐 아니라 무술 등의 교육도 시켰다고 한다. 삼국의 교육 기관 백제는 교육기관이 기록에 남아있지는 않다. 하지만 더 세련된 박사 제도가 있었다. 박사는 중국의 제도를 본따 만든 5경박사, 의박사, 역박사 등, 5경 박사는 유교 경전 5경을 의미한다. 시경, 서경, 역경, 예기, 춘추. 이런 박사가 귀족 자제들에게 가르쳤다. 백제의 박사제도는 일본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백제가 한문학 수준이 제일 높았던 듯 보인다. 백제 귀족들은 한학을 상당히 수준있게 공부하였다. 개로왕의 국서를 봐도 한문학 구사 수준이 장난이 아니다 .사택지적비는 7세기 의자왕때.. 2021. 8. 17.
한국사 고대의 종교 문화 불교에 관하여 고대문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종교는 불교이다. 우리나라 불교는 4세기 무렵 고구려가 제일 먼저 수용했다. 372년 소수림왕 때 북중국의 전진에서 순도라는 승려가 고구려에 와서 불경과 불상 등을 전해줬다. 백제는 384년 침류왕 때 남조국 동진 승녀 마라난타가 불교 전해줬다. 신라는 4~5세기 때 고구려 승려이던 묵호자가 신라로 가서 불교를 전했다. 이 시기에는 국가적 공인을 받은 게 아니라 민간에 비밀리에 100년 정도 전해졌고 527년 법흥왕때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지배층의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 한국 고대 종교 불교 이차돈 순교 이후 이차돈 순교가 의미하는 것은 탐탁치 않게 생각하는 토착 귀족들과 이것을 수용하려는 왕실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는 데에 있다. 불교가 수용되기 이전 고구려, 백제, .. 2021. 8. 16.
한국 고대 사회 특징 및 경제 전반 이야기 고대의 경제구조는 지배계급(왕, 귀족)이 양인 농민과 노비를 지배하여 그들이 생산한 생산물과 노동력을 수취하여 경제 생활을 영위하는 구조, 수취대상(토지, 사람) 그러나 한국의 고대사는 사료가 거의 없음. 삼국의 수취 제도 뿐. 한국 고대의 수취제도 조세: 재산의 정도에 따라 호를 상중하로 나눠 곡식과 옷감을 거뒀다. 삼국시대는 (역)15세 이상의 남자 노동력을 징발해서 성곽을 수리했다고 기록. 귀족생활은 사유지와 녹읍, 식읍, 노비 소유 , 화려한 생활 영위. 삼국은 귀족이 지배층. 귀족의 경제기반은 넓은 사유지. 녹읍과 식읍, 노비를 거느리며 화려한 생활 영위함. 녹읍과 식읍은 사촌지간. 삼한일통의 영웅 김유신에게 문무왕이 식읍 500호를 내줬다는 기록. 문무왕 동생 김인문에게 식읍 300호. 식읍은.. 2021. 8. 14.
한국사 통일 신라 이후 시대상과 체제 나당연합군이 출병한 건 660년. 12년 후에 생긴 건 그 과정에 당 태종이 죽었기 때문. 660년 백제 멸망. 덕적도에 당나라 장군. 김유신이 이끈 5만 장군이 백제 치고 올라감. 백제는 초동 대응을 잘 못함. 백제의 멸망(황산벌 전투, 사비성 함락)→부흥 운동(복신, 도침, 흑치상지), 왜의 지원(백강 전투) 나당 연합군에 의해 20일만에 700년 왕조 멸망. 통일 신라 이후 백제 부흥 운동 조짐 흑치상지, 복신.도침. 백제는 왜와 아주 긴밀한 관계, 의자왕 아들 부여풍, 풍왕자가 당시 왜에 인질처럼 가 있었음. 백제 부흥 운동 세력은 일본은 3만명의 군대를 이끌고 부여풍을 호위해서 옴. 왜 수군 3만명이 백강 입구에서 교전이 벌어지는데 왜가 전멸. 고구려 멸망 과정 연개소문 사후(660) 지배층의 .. 2021. 8. 12.
한국사 신라의 발전과 주변국 상황 사로육천이 신라의 뿌리, 이사금 칭호(박석김이 교대로 왕위 차지) 최고 권력자를 이사금이라 함. 이사금은 이빨자국이란 뜻, 떡을 물어 이빨 자국이 더 많이 난 사람이 왕, 이가 많을수록 연장자란 의미. 전형적인 연맹체 국가 모습. 신라는 사로국에서 출발한 진한의 소국 4세기 17대 내물왕 김씨 왕위 세습제 확립-이는 왕권 강화 징조, 최고 권력자를 마립간으로 부름 마립간은 고갯마루 높다는 뜻, 간은 칸, 우두머리 수장 뜻, 이사금보다는 최고 권력자의 권력 강화 의미. 낙동강 동쪽 지역 진출, 고구려의 광개토대왕 도움으로 왜구 격퇴(400) 이후 왜를 물리치고 신라는 이때부터 상당기간 고구려의 영향권 하에 있음. 이의 증거로 호명그릇이 있다. 실성왕 왕의 조카이며 인질로 고구려 갔다가 와서 돌아와서 내물왕.. 2021. 8. 11.
고대국가 백제의 성립과 발전 온조설화, 온조는 엄마 소서노와 함께 백제로 옴. 백제는 마한의 한 소국이었음. 건국-고구려계 유이민 세력과 토착세력의 결합. 온조 설화를 뒷받침하는 사실들 (온조설화:부여씨, 돌무지 무덤 등, 백제 왕조의 성씨가 성왕때 남부여로 이름을 바꿈. 근초고왕 이름이 부여구, 무령왕 이름이 부여융, 돌무지 무덤-석촌동 고분에 있는 돌무지 무덤 7기는 고구려 초기 고분 양식, 이는 지배계급이 같다는 의미) 백제의 성립과 발전사 3세기 고이왕: 하강 유역 복속, 관등제와 관복제 실시-통치제도 정비 의미 4c 중엽 근초고왕 왕위의 부자 세습제 확립, 마한 남은 세력 복속 남해안 일대까지 넓힘. 고구려 평양 공격(371), 가야 지역 진출, 해외 진출 (산둥, 요서, 규슈 지역) 근초고왕 때 백제가 요서, 산둥, 규슈.. 2021. 8. 10.
고대 중앙집권 국가 중 고구려 성립과 발전 고대 중앙집권 국가로 발전한 나라는 고구려, 백제, 신라이며 가야 연맹체는 소국들이 고만고만하였다. 금관가야, 대가야 주도하긴 했지만 압도하진 못하고 연맹 왕국 단계에 머무르다 신라나 백제에 복속 당했다. 그래서 가야는 중앙집권국가로 보지 않는다. 백제는 마한의 54국 소국이었다가 한강 유역에서 성장한 백제국이 한강 유역을 정복하면서 상당한 통치 조직을 정비하고 근초고왕 때 영토를 확장하면서 강력해졌다. 신라도 삼한의 소국이었으나 4세기 후반 내물왕 때 내물왕 김씨가 독점적으로 사용하면서 호칭이 마립간으로 바뀌었다. 이는 왕권 강화를 의미한다. 왕권 강화를 뒷받침한 고대 중앙집권 국가 고구려, 백제, 신라는 왕권 강화, 관등 제도, 관복 제도, 율령 반포, 다중다양한 부족을 흡수 통합함. 불교를 왕실이 .. 2021. 8. 10.
선사시대 및 고대 국가의 발전 과정 구석기 시대는 주로 물고기 등을 잡으며 생활. 겨울에는 동굴, 여름에는 막집에서 거주. 뗀석기 등 돌을 가지고 고기를 잡거나 등등 생활. 후기에는 찌르개 도구도 등장. 빙하기간빙기 반복되고 해수면 형성되면서 신석기 시대 돌을 갈아서 사용하는 간석기 사용, 채집 등 가벼운 밭농사도 하게 되면서 움집 등에 거주. 토기의 필요성을 느끼고 제작. 디자인까지 겸한 빗살무늬토기가 한반도를 대표하는 토기임. 덧무늬 토기도 있음. 미약한 종교 관념도 생겨 자연을 숭배하는 토테미즘, 동물 숭배하는 애니미즘, 무당 모시는 샤머니즘 등장함. 족외혼을 하며 부족사회를 이룸.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 유물은 비파형 동검과 거친 무늬 거울. 재료 재질이 약해서 의식주 도구나 칼이나 거울 밖에 못 만듦. 점차 주거 정착을 하면서 민무.. 2021. 7.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