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umanities(인문학)143

[책맛보기]20세기 문화지형도 18세기에 접어들면서 기술은 인간에게 새로운 삶의 수단을 제공함과 동시에 누구나 추구해야만 하는 최고의 가치로 자리 잡았다. 마침내 인류는 기술 혁신의 시대로 돌입한 것이다. 22. 블루스는 본래 제1차 세계대전 직후 미국의 남부 흑인이 북부 시카고 지역으로 가져 온 음악이었으며 40년대 리듬 앤 블루스를 거쳐 50년대 로큰롤로 발전하였다. 이 시대의 대중음악 아이콘은 엘비스 프레슬리이다. 97. 우리의 대중문화 속에 주목할 만한 특징은 미국화가 서양화이며 서양화가 곧 현대화라는 착각이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미국은 서양을 대표하며, 미국처럼 생활하는 것이 곧 현대화라는 착각이 대중들 사이에 확산되었다.27. 유럽의 모더니티는 새로운 기계와 기술의 발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미국의 모더.. 2020. 5. 1.
[책맛보기]계몽의 변증법 오늘날의 예술이나 문학이나 철학이 충족시켜야 할 투명성의 개념 또한 비슷한 방식에 의해 정의된다. 진보가 퇴보로 전환되는 것이다. 인간의 우월성은 의심할 여지 없이 지식에 있는 것이다. 지식은 많은 것들을 자신의 내부에 간직하고 있다. 22. 지식은 출신에 관계없이 기업가들에게 봉사한다. 지식은 개념이나 형상을 목표로 하지도, 사물의 본질을 통찰하는 행복감을 목표로 하지도 않는다. 지식의 목표는 방법, 타인 노동의 착취 그리고 자본이다. 23. 베이컨의 견해에 따르면 지식이 간직하고 있는 많은 것들은 단순한 도구에 불과하다. 라디오는 한 단계 승격된 인쇄기이고. 22. 근대 과학으로 나아가는 도정에서 인간은 의미를 포기한다. 인간은 개념을 공식으로, 원인을 규칙과 개연성으로 대체한다. 24. 시민 사회는.. 2020. 5. 1.
[책맛보기]한국대중음악사 산책 한국 음반 제작의 역사 1887년 에디슨이 축음기 발명 1896년 미국에서 한국 유학생들이 민요 취입 1907년 미국 콜롬비아사에서 경기 명창 한인오와 관기 최홍매가 민요. 가사. 시조 취입 해방 이후 최초로 음반사를 설립한 곳은 고려레코드 1947년경 부산에서 코로나레코드 설립 1948년 대구에서 오리엔트레코드 설립 한국전쟁이 끝난 후 1950년대는 참혹한 생존의 시대였다. 청소년들은 한강 백사장에서 청춘을 향유했고, 가장들은 가족과 함께 창경원 꽃구경을 즐겼다. 서구식 의상이 유행했으며, 라디오가 도입되면서 대중매체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이하였고. 조선의 지배자가 일본에서 미국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은 해방과 더불어 삶의 기준과 방식이 완전히 달라진다는 의미였다. 전쟁으로.. 2020. 4. 30.
[책맛보기]엔터테인먼트 산업혁명 엔터테인먼트란? 엔터테인먼트에서 엔터enter는 함께 라는 공감의 의미를, 테인tain은 잡다, 소유하다는 뜻을 지닌다. 이처럼 함께 즐기는 인간의 활동을 포괄하는 단어가 엔터테인먼트고, 여기서 태동한 산업이 엔터테인먼트 산업이다. 영화, 음악, 방송, 게임, 드라마, 애니메이션을 일컫는 현대적 의미의 엔터테인먼트는 1900년대 초에 정립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이후부터 문화 또는 콘텐츠 등으로 분류되며 하나의 독립 산업으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15. 콘텐츠의 본질은 미디어와의 분리 가능성, 즉 확장성에 있다. 미디어와 내용을 분리할 수 없는 종이책과 종이 신문은 미디어이면서 동시에 콘텐츠다. 콘텐츠란 말은 새로운 미디어들이 생겨나고 멀티미디어 시대로 접어들면서 본격적으로 확산됐다. 27. 한국.. 2020. 4. 29.
[책맛보기] 대중문화의 탄생 Popular culture 민중문화 Mass culture 대중문화 대중문화를 탄생시킨 주역은 세금이다. 조세제도는 가족, 부족, 혈족의 자연 단위를 넘어서는 정치조직, 경제체제, 이데올로기가 나타났음을 뜻한다. 또한, 의사소통의 범위가 확장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권위와 생계, 통치의 범위가 지역을 뛰어넘었음을 뜻하기도 한다. 이는 메트로 폴리스의 존재를 의미한다. 그렇다고 해서 대중문화 자체가 도회적 문화라는 말은 아니다. 그렇다고 대중문화가 농촌 경제에서 직접 생겨났다고 보기는 힘들다. 27. 대중문화의 통상적인 정의는 ‘산업사회의 노동계급 또는 중산층이 즐기는 여가 활동이다.’ 대중문화는 우리가 일하거나 정치 활동을 하거나 종교 행사에 참여하지 않을 때 하는 것이며, 특히 우리를 비롯한 수많은 사.. 2020. 4. 28.
[책맛보기]한국대중문화예술사 문화란 한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이나 집단이 자연을 변화시켜온 물질. 정신 과정의 산물이다. 사회 구성원이 습득.공유.전달한 행동양식이나 생활양식의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 10. 정신적이고 지적인 발전상을 문화로 정의할 경우 문명 civilization 은 물질적 기술적 진보나 발전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문명은 자연 그대로의 원시적 생활에 대비되는 것으로 인류가 이룩한 물질, 기술, 사회구조의 발전상을 뜻한다. 보통 물질문명과 정신문명으로 구분한다. 10. 대중예술과 대중문화 대중예술은 대중적으로 인정받는 통속적인 예술을 가리키는 말로 영화가 태동한 19세기 후반부터 널리 사용되었다. 이러한 대중예술의 영향에 힘입어 형성된 것이 대중문화이다.popular culture. 대중문화는 사회구성원이 다수를 차.. 2020. 4. 27.
[책소개] 케이팝의 시대 해외의 수용자들이 케이팝을 좋아하는 것은 케이팝의 무국적성이 문화적인 장벽을 없애주어 영미 대중음악과 같은 보편성을 확보하기 때문이다. 20.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수시로 언급되고 있는 문화 현상의 화두는 문화 세계화이다. 문화세계화는 강력한 정치경제적 힘을 등에 업고 있는 미국의 영향 아래 이루어져 왔고 현재도 진행중이다. 한국의 저작권법은 1957년에 최초로 제정되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987년 이전까지는 체계화된 징수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았다. 대중음악 제작에 디지털 녹음 기술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은 1978년 일본의 소니에서 발매한 24채널 디지털 테이프 녹음기가 음악 제작에 활용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엄청나게 고가였다가 제작 기기의 가격 하락과 더불어 이 기기들이.. 2020. 4. 25.
[책맛보기] 대중문화 트렌드 대중문화를 아는 게 개인의 역량인 시대. 대중은 이 시대를 이끌어나가는 주체이다. 이 시대의 주요 의식, 라이프 스타일, 문화를 주도하는 사람들이자 그것을 소비하는 사람들이다. 그런 만큼 그들의 생각과 관심사를 담은 요체라고 할 수 있는 대중문화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6. 깊게 좋아하는 소수보다 얕게 좋아하는 다수가 많고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사람들이 티비보다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2015년은 국내에 모바일 콘텐츠 기반의 뉴미디어가 폭발한 원년이었다. 25. 2016년은 국내 가요계의 3대 기획사인 sm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 , jyp 엔터테인먼트가 각기 다른 방향성을 고민하며 변화를 꾀했다. 한국 대중음악계에서는 1990년대 초. 중반까지만 해도 미국 팝 음악.. 2020. 4. 24.
반응형